용인 ‘반도체 중심도시’에 아파트 6만여가구 공급…“인구 150만명 대비”

용인특례시청 전경. 용인특례시 제공
용인특례시청 전경. 용인특례시 제공

 

반도체 바람을 탄 용인특례시 전역에 6만가구에 육박하는 공동주택이 공급된다.

 

26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시가 반도체 중심 도시로 부상하면서 인구가 150만명 수준으로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주택 공급도 지속해 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민간 부문에서 주로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지구(4천466가구)와 지구단위계획지구(1만2천158가구)에서 1만6천624가구가 예정돼 있다. 개별 주택사업지의 860가구를 포함하면 1만7천484가구가 공급된다. 중장기적으로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조성 등 주요 개발사업과 관련해 대부분 공공 부문에서 추진하는 4만1천907가구의 물량이 계획되고 있다.

 

이를 모두 합하면 이달 25일 기준으로 공동주택 계획 물량이 5만9천391가구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먼저 이동공공주택지구 1만6천가구, 원삼면 용인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 1천826가구의 공동주택이 계획됐다. 여기에 플랫폼시티에 계획된 1만105가구를 합하면 세 곳의 계획 물량만도 2만7천931가구에 달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시행하는 세 곳의 공공지원민간임대주택 공급촉진지구에는 총 1만3천976가구가 계획됐다. 용인언남지구 5천447가구와 중앙공원지구 4천729가구, 용인포곡지구 3천800가구 등이다. 시는 이 가운데 용인언남지구 물량은 5천400가구 이하로 조정할 방침이다.

 

이뿐 아니라 민간 부문에서 주로 추진 중인 도시개발사업지구와 지구단위계획지구 등에선 1만6천624가구의 물량이 예정돼 단기 수요를 충당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도시개발사업지구에선 ▲역북2지구 912가구 ▲송전3지구 1천284가구 ▲역북4지구 960가구 ▲양지2지구 710가구 ▲남사아곡지구 7블럭 600가구 등이 계획돼 있다.

 

11개 지구단위계획 지구에선 ▲양지지구 2천262가구 ▲은화삼지구 3천724가구 ▲동백어정지구 378가구 ▲천리지구 763가구 ▲삼가1지구 568가구 ▲삼가2지구 1천950가구 ▲금어지구 1천275가구 ▲영덕지구 238가구 ▲상현5지구 203가구 ▲풍덕천2지구 480가구 ▲마북3지구 317가구(미확정) 등이 예정돼 있다.

 

이 밖에 일반사업단지인 처인구 고림동 464-2 일대 4만3천814㎡의 ㈜에스지고려 현장에서도 860가구 공급이 계획돼 있다.

 

이상일 시장은 “중장기로 용인 인구가 150만명 이상으로 증가할 것에 대비해 2040 도시기본계획이나 2040 하수도정비기본계획 등을 수립하고 있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