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균의 어반스케치] 삼일문 앞에서

image

내 안의 울타리가 케테 콜비츠의 목탄처럼 어둡다. 새해 들어 벌써 두 달을 낭비한 채 삼월을 맞는다는 게 스스로에게도 예의가 아닌 듯하다. 봄은 왔건만 마음은 아직 얼음장 밑 물소리 같다.

 

궂은비처럼 어수선한 시국에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러움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는 동주 형의 거룩한 시를 가슴에 내었다.

 

그를 옥사시킨 일본이 8개월 동안 다녔던 릿쿄대에 기념비를 세우더니 편입한 도시샤대에선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했다. 사람은 가도 영혼은 부활해 그와 그의 시를 가슴으로 영접한 것이다.

 

탑골공원 삼일문 앞으로 갔다. 풍물이 화려하게 펼쳐지고 만세삼창과 다양한 퍼포먼스가 진행됐다. 무엇보다 서예 퍼포먼스에 광화문 미술행동이 그림을 입히는데 대장께서 내게 붓을 내밀어 당황했으나 나는 이 땅에 새봄이 오기를 비는 의미를 담아 꽃으로 여백을 채웠다.

 

장순행님의 즉흥 창작무 ‘조선의 소녀 몸짓으로 피어오르다’가 아름답게 펼쳐졌다. 이 시대의 봄에 유관순 누나의 꿈이 분분히 재림하는 환영을 본다.

 

미움은 오물이다. 그것은 결국 자신을 더럽히는 부메랑이 된다. 요즘의 분위기가 염려스럽다. 편을 갈라 상대편을 욕하는 미움이야말로 가장 무서운 분열뿐인 것이다.

 

상대방을 이해하고 존중할 때 비로소 자신을 인정받게 되는 게 아닐까. 우리의 적은 너와 내가 아니다. 더 큰 세계관으로 튼튼히 뭉칠 때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