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시 중대재해 스마트 시스템 자체 개발… 기초 지자체 최초

양주시청 전경. 양주시 제공
양주시청 전경. 양주시 제공

 

양주시가 기초지자체 최초로 지역 특색을 반영한 중대재해 스마트 시스템을 자체 개발해 이달 말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간다.

 

17일 시에 따르면 중대재해 제로화를 목표로 첨단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 한층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중대재해 예방 시스템을 완성했다.

 

중대재해처벌법은 사고 발생 시 인과관계가 확인되면 경영 책임자와 법인 등에 중벌을 가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으나 양주지역 사업장(100곳), 도급사업장(1천여곳), 중대 시민재해시설(153곳) 등은 하루에도 수십건의 점검과 문서를 작성해야 하는 등 기존 방식으로는 효율적인 안전·보건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이에 시는 아날로그 방식의 중대재해 예방 시스템을 전면 디지털화해 스마트 시스템을 기반으로 안전관리 혁신을 추진하는 한편 중대재해 관련 정보를 통합·분석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해당 시스템은 모바일 환경을 지원해 사업장의 각종 점검과 보건관리가 실시간으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특히 수급인 안전·보건 관리 사항을 비롯해 현장 근로자와 시설물의 유해·위험요인을 즉시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어 행정력 절감과 동시에 실질적인 안전 강화가 가능해졌다.

 

문은경 안전건설과장은 “양주지역 사업장 내 근로자 모두의 안전이 최우선인 환경을 만드는 게 가장 큰 목표”라며 “스마트 시스템이 구축됨에 따라 실시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지속적인 관리와 혁신을 통해 중대재해 제로화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