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대 연구단 컨소시엄, 230억 규모 국책과제 수주

UAM·자율주행차·로봇 지원 첨단공간정보 기술 개발 추진

안양대 연구단 국책사업 컨소시엄. 안양대 제공
안양대 연구단 국책사업 컨소시엄. 안양대 제공

 

안양대학교 연구단 컨소시엄(연구단장 안종욱 안양대 교수, 대한공간정보학회장)은 국토교통부 산하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의 ‘국토정보 고도화를 위한 입체격자체계 적용 및 활용 기술개발(R&D)’ 사업자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향후 5년간 230억 원의 정부지원금을 받아 첨단공간정보 기술 개발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UAM(도심항공교통), 자율주행차, 실내 자율주행로봇 등 첨단 모빌리티를 지원하는 공간정보 기술을 연구·개발하는 것이 핵심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공간데이터큐브 저장·관리 자동화 및 최적화 기술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융복합 분석 및 지능화 기술 ▲첨단모빌리티 대상별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HCMI Map 구축 및 실증 등이다.

 

안양대 연구단 컨소시엄에는 안양대학교를 비롯해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토연구원, LX공간정보연구원, 공간정보산업진흥원 등 18개 대학·연구기관·기업이 참여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공중·지상·실내공간에서 UAM, 자율주행차, 실내 자율주행로봇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운행을 지원하는 첨단 공간정보 기술이 개발될 전망이다. 특히, 공간데이터큐브 기반 기술을 통해 ▲머신맵 및 휴먼맵 구축 시간·비용 절감 ▲국제표준화 선도 및 기술 안전성 확보 ▲첨단모빌리티 산업의 기술생태계 지원을 위한 핵심기술 실증을 추진할 계획이다.

 

안종욱 연구단장은 “이번 연구가 대한민국 공간정보 산업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국토정보의 디지털 대전환을 촉진하고 첨단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 데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장광수 안양대 총장은 “대형 국책사업 수주를 축하하며, 지산학연 협력체계를 통해 3차원 공간정보 기술을 성공적으로 개발하고 일자리 창출 및 대학 위상 강화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