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시, 미니뉴타운·역세권 정비·광역통합 등 정비사업 본격 추진
부천시가 낙후된 원도심의 주거환경을 대대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미니뉴타운 시범사업과 부천형 역세권 정비사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정비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신도시와 원도심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쾌적한 정주 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10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달 주민설명회를 시작으로 다음달 정비사업 공모를 접수하고, 7월까지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지역에는 용적률 완화와 용도지역 상향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행정 절차는 ‘패스트트랙’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특히 ‘미니뉴타운 시범사업’은 정비효과가 미미했던 중소 규모 노후 지역을 광역 단위로 통합 개발하는 방식으로, 기존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웠던 지역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을 개선한다.
10만㎡ 이상 면적에 노후·불량 건축물이 50% 이상인 지역이 대상이며, 토지소유자 10% 이상의 동의와 사전컨설팅을 거쳐야 신청할 수 있다.
‘부천형 역세권 정비사업’은 서로 떨어져 있는 구역을 하나로 묶어 개발하는 ‘결합정비’ 방식이 핵심이다. 철도역 인근 노후 주거지를 포함해 원도심 기반시설 확충까지 동시에 추진할 수 있어 정비사업의 사업성을 높이고 공공성도 강화할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여기에 소사구 괴안동과 소사본동 일원에서 진행 중인 ‘광역적 통합정비사업’은 개별 구역의 한계를 넘는 통합 재건축 모델로, 사업성 향상과 주민 부담 완화, 공공 인프라 확충 효과가 기대된다.
시는 이들 정비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제도개선도 병행 중이다. 이미 지난해 정비사업 조례를 개정했으며, 올해는 용적률 인센티브, 종상향 체계 도입, 부담률 완화 등을 담은 추가 개정과 도시정비 기본계획 변경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재생지원센터’의 기능을 기존 재생 중심에서 정비사업 전반으로 확대해, 주민과의 소통과 정보 제공 기능을 강화할 방침이다. 전용 홈페이지도 구축해 사업 추진의 투명성과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장환식 주택국장은 “정비사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원도심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고, 시민이 체감하는 주거환경 변화를 실현하겠다”라며 “신도시와 원도심이 함께 발전하는 부천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정비사업들은 단순한 개발이 아닌, 도심 균형발전과 주거복지 실현이라는 큰 틀에서의 전략이어서 향후 진행 상황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