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감 커지는 하남도공 캠프콜번 개발… ‘적정성 논란’

수개월간 민간업체 찾았으나 참여자 ‘0’… 1차 공모 좌초
“여건 미성숙한데 재공모 강행”… 시의회 야당 의원들 비판
공사 “자족시설 확대 등 기준 완화시 업체 참여 수월할 것”

하남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부지. 하남시 제공
하남도시공사가 추진 중인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부지. 하남시 제공

 

하남도시공사가 민선 8기 역점 추진 중인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의 적정성 여부를 둘러싸고 지역 내 반감이 높아지고 있다.

 

공사가 수개월간 민간업체 찾기에 집중했으나 무산(경기일보 3월25일자 인터넷)되는 등 녹록지 않은데도 강행하고 있어서다.

 

14일 공사 등에 따르면 공사는 지난 11일 가칭 캠프콜번 복합자족단지 도시개발사업 민간참여자 재공모 절차에 들어 갔으며 1차 공모 때와는 달리 전략시설 확보 비율과 공모자격 등을 완화하는 내용으로 설계돼 민간사업자 참여 문턱을 낮춘 것으로 파악됐다.

 

핵심(전략육성) 시설용지를 기존 50%에서 30%로 낮춘 대신 자족시설(업무 등) 용지를 50%까지 높이고 공모 신청자격조건도 대표자 지분을 종전 ‘15% 이상’에서 ‘민간참여자 중 출자비율이 가장 높은 법인’, 참여사도 일곱 곳 이하에서 아홉 곳 이하 등으로 조정이 골자다.

 

하지만 경기도 개발제한구역해제 통합지침이 정한 공공임대주택 비율(전체 가구 수 대비 45~50% 이상)이 개선되지 않은 이상 민간업체 참여 등 성과 기대가 녹록지 않다는 게 업계의 지적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공사는 실효 가능한 보완책 등을 마련하지 않은 채 문턱을 낮추는 당근책으로 공모가 좌절된 지 채 1개월도 지나지 않아 재공모에 나서면서 반감이 일고 있다.

 

공사는 지난해 12월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을 위한 민간참여자 공모 공고에 나선 후 설명회 등으로 참여를 독려했으나 결국 무산됐다.

 

참여 의향서 제출사가 20여곳이지만 마감일인 지난달 24일까지 민간참여자 지정신청서 및 사업계획서 제출 업체가 단 한 곳도 없었다.

 

사정이 이렇자 재공모 등 향후 사업 추진 등을 놓고 시의회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집중 공세를 받은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다.

 

제반 여건이 성숙되지 않았는데도 무리수를 두며 강행을 고집하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도 쏟아졌다.

 

오승철 시의원은 “핵심 시설은 줄이고 오피스텔 같은 업무용 시설을 늘리려 하고 있다. 이럴 게 아니라 내외적 여건이 좋을 때 시 발전에 디딤돌이 될 수 있는 구체적 사업을 마련, 추진해야 하는 게 맞다”고 꼬집었다.

 

공사 관계자는 “종전보다 자족시설을 더 늘리는 등 기준을 완화하면 업체 참여가 다소 수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추이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밝혔다.

 

한편 해당 사업은 공사가 하산곡동 25만㎡ 규모 미군반환공여구역인 캠프콜번 부지에 미래형 첨단산업 등 융·복합단지를 조성하기 위해 민관 합동 방식으로 추진 중인 프로젝트다.

 

●관련기사 : 하남도공 ‘캠프콜번’ 도시개발사업 어쩌나…참여기업 없어 ‘난항’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325580270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