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남시의 종합운동장 이전 건이 백지화 됐다.
시가 기존 하남종합운동장 시설을 존치하고, 중장기적으로 새로운 부지를 확보해 주경기장 등 운동장을 건립하는 방안으로 선회해서다. 하지만 종합운동장 이전 등을 둘러싸고 제기된 지역 내 갈등이나 시의회 반발 등 여진은 시가 감당해야 몫으로 남겨졌다.
11일 시와 최훈종 시의원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진행된 시민 설문조사, 다양한 시민 의견수렴, 5차례 ‘종합운동장 이전 검토를 위한 민관협업 TF’ 회의 등을 통해 하남종합운동장 이전을 중장기적 과제로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시는 그동안 2007년 준공된 현 종합운동장이 급격한 인구 증가를 수용하기에 규모가 협소하고, 미사신도시 개발 이후 소음 및 조명 관련 민원이 발생해 운동장 기능이 저하됨에 따라 종합운동장 이전 타당성 및 기본구상 용역을 서둘러 왔다. 권역별 주민대표, 체육단체,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민관 협업 TF를 구성, 시민 의견을 수렴한 뒤 운동장 확충 공감대를 확보하는 과정에서 주민 간 다양한 의견으로 합의점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결국 지난달 종합운동장 이전 민관협업 TF 5차 회의를 통해 인구 증가에 맞춘 중장기적 과제로 넘겨지면서 백지화가 됐다. 하지만, 하남시의회 최훈종 도시건설위원장(민)은 이전 백지화에 대해 졸속추진으로 혈세만 축냈다며 즉각 비판하고 나섰다.
종합운동장 이전과 관련, 지난해 10월15일 시정질의에서 문제를 제기한 최 위원장은 당시, 하남시민의 철저한 의견 수렴을 촉구하며 책임있는 답변을 요구했다.
최훈종 위원장은 “종합운동장 이전 계획을 추진하기 전, 시민의 의견과 여론을 충분히 조사했어야 하고 하남시의 기반시설은 시민 모두의 것이지, 시장의 공약 실현을 위한 수단이 아니다”면서 “결국 이번 종합운동장 이전은 여론수렴 없이 추진된 끝에 백지화 됐고 시민의 소중한 혈세와 행정력만 낭비됐다. 시민들께 진심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이현재 시장은 “이번 결정은 체육 단체와 권역별 주민 대표 간의 논의와 합의를 바탕으로 이뤄진 결과며, 앞으로 투명한 행정과 시민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시민 모두가 만족할만한 시설을 신설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