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소각시설 처리 용량이 50t 이상 부족한 지자체의 경우 자체 추가 소각시설을 건설하라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추가 조성계획을 추진하고 있지만 대상지 선정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는 2022년 7월 안산을 포함해 수도권 지자체 10곳에 올해까지 소각시설 추가 건설을 촉구했지만 시는 최근에야 입지선정위를 꾸린 것으로 파악돼 소각시설 추가 조성에 차질이 우려된다.
11일 시와 환경 관련 단체 등에 따르면 환경부는 2022년 7월1일 기준으로 소각장 처리 용량이 50t 이상 부족한 안산을 비롯한 수도권 소재 지자체 10곳에 연말까지 자체 소각장을 건립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2021년 7월 생활폐기물 매립을 금지하는 내용을 담은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이 공포된 뒤 내년부터는 수도권 매립지에서 매립을 금지하기로 방침을 정했기 때문이다.
환경부로부터 소각장 추가 설치를 요구받은 수도권 지자체 10곳은 그동안 생활폐기물을 수거한 후 소각장에서 처리하거나 용량이 부족할 경우 인천 소재 수도권매립지로 반입해 매립했으나 이처럼 매립이 금지됨에 따라 시설용량이 부족한 지자체는 자체 소각장 추가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안산에서 발생하는 생활쓰레기(종량제봉투)는 하루 기준으로 240t가량이며 이 중 자원회수시설에서 하루 160t가량, 민간에서 16t가량을 소각하고 있고 79t가량은 매립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시는 매립량과 장상 및 신길 등 3기 신도시 조성에 따른 인구 증가(2만3천여명)와 소각장 가동일수 등을 고려할 경우 현재의 160t의 처리 용량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 2029년까지 1천793억원을 들여 하루 360t가량 처리할 수 있는 소각장을 건립할 방침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소각장을 유치하겠다는 후보군(대상지)이 나타나지 않고 있어 지난 2일 폐기물처리(소각)시설 입지선정위를 구성하고 입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소각시설 건립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해 공고했지만 후보군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그동안 행정 절차 등으로 불가피하게 시간이 흘렀으며 환경부가 지자체 사업 추진 현황을 확인하는 것 등을 종합하면 일정 기간 유예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고 진단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