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적 관세 타결에…경기도 수출기업 지원 예산 “필요시 증액할 것”

김동연 지사 ‘특별지원대책 회의’
2차 추경 관련예산 필요시 증액
‘특별경영자금’ 500억 추가 투입

31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청 서희홀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진기자
31일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청 서희홀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진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부과 정책 시행을 하루 앞두고 한미 간 무역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가운데 경기도가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특히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감액추가경정예산안이 예고된 2차 추경 기조에도 관세협상 대책 예산은 “필요하다면 증액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31일 경기도청 서희홀에서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른 경기도 특별지원대책 회의’를 주재, 수출기업 지원 사업 예산을 감액 없이 유지하라고 했다.

 

당초 도는 오는 9월 제2회 추경 편성을 앞두고 세수 감소와 세출 증가로 실·국별 사업비 약 20%를 감축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25%의 상호 관세 부과를 하루 앞둔 시점에서 양국이 15% 관세율로 극적 합의한 만큼, 도에서도 무역 여건 불안정에 대응하기 위한 지원책을 유지지원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앞서 도는 제1회 추경에서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70억원 ▲스타트업 글로벌 펀드 40억원 ▲글로벌 수출기업 육성 13억원 ▲수출유망지역 유통망 진출 지원 10억원 등 수출기업 지원에 133억원을 배정한 바 있다.

 

김 지사는 이날 회의에서 수출 중소기업들의 자금난 해소를 위한 ‘특별경영자금’ 500억원 추가 지원도 결정했다. 이는 지난 4월 미국산 시장개방 피해기업을 대상으로 500억원을 전국 최초로 지원한 데 이은 후속 조치로, 특별경영자금 규모는 총 1천억원으로 확대된다. 업체당 최대 5억원까지 지원 가능하며, 현재까지 90개 기업이 399억원을 지원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무역위기 대응 패키지 지원사업의 대상 품목도 확대된다. 기존에는 반도체, 자동차, 철강, 알루미늄, 의약품, 구리 등 6대 품목에 한정됐지만, 이번 협상 이후 화장품과 의료기기 등 피해가 예상되는 소비재 업종을 추가 지원 대상으로 검토하기로 했다.

 

또 도는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무역위기 대응 시즌2’ 회의체를 구성, 관세 협상 타결 이후의 지속적 대응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 지사는 “2차 추경에서 여러 사업을 감액 편성하더라도 관세협상 타결로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에 대한 수출지원 또는 관련한 사업은 포함시키지 않도록 해달라. 필요하다면 오히려 증액해서라도 지원하라”며 “경기도는 국정의 제1동반자로서 이재명 정부의 실용외교와 국익외교를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