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관리 안 된 사방댐은 산사태 유발 요소다

image
경기도가 매년 수십개의 사방댐을 설치하며 산사태 예방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유지·관리에는 소홀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사진은 지난 6일 가평군 북면 목동리에 설치된 사방댐에 자갈과 토사가 쌓여 있는 모습. 경기일보DB

 

오랜 기간 확인된 사방댐의 효과가 있다. 산사태로 인한 토사 퇴적을 막아 준다. 계곡 바닥의 침식을 억제해준다. 집중 호우 시 물을 일시적으로 저수해준다. 가뭄 때는 용수 공급원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유목이나 부유물을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그래서 전국에 1만5천여개가 설치돼 있다. 올해도 1천개소를 만들 계획이라고 산림청이 밝힌다. 경기도에도 1천500여개의 사방댐이 있다. 해마다 20~50개의 사방댐을 새로 만들고 있다.

 

문제는 관리다. 관리되지 않은 사방댐은 또 다른 재앙 요소다. 최근 참변을 당한 경남 산청 산사태 분석에도 그런 주장이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 등이 지난 4일 발표한 조사 내용이다. “모고마을 등에서는 사방댐이 함께 무너져 마을을 덮치면서 더 큰 재난을 초래하게 됐다.” 사방댐의 실효성을 인정하지 않는 주장도 나왔다. 환경을 중심으로 접근한 측면이 있다. 하지만 준설되지 않은 사방댐의 위험성은 설명이 필요없는 사실이다.

 

산이 많은 가평군이 지난달 큰 비 피해를 입었다. 6명이 사망하고 1명이 실종됐다. 미귀가 이재민이 125명에 달한다. 주로 산사태와 하천 범람이 키운 피해다. 여기에 비 걱정은 끝난 게 아니다. 지난 6일에도 시간 당 30~50㎜의 폭우가 쏟아졌다. 태풍이 많은 8~9월도 걱정이다. 정신 없겠지만 해야 할 재난 행정이 있다. 사방댐 점검도 그중 하나다. 본보가 가평 등 동북부 일대를 살펴봤다. 준설 등 눈으로 확인되는 부분을 봤다.

 

가평군 북면 산자락의 사방댐이다. 저수 공간이 자갈과 토사로 메워졌다. 사실상 댐 전체가 덮여 있다. 근처에서 지난달 집중 호우 때 산사태가 났다. 인접한 다른 사방댐도 사정은 다르지 않았다. 가평군도 잘 알고 있지만 예산을 말한다. 사방댐 복구를 위해서는 행안부 지원금이 필요하다. 최소 두세 달은 걸린다고 한다. 경기도는 관리 책임을 얘기한다. “사방댐 관리 주체는 시·군이다.” 이래저래 산 아래 주민들만 잠 못 이룬다.

 

바로 인접한 A시가 있다. 사방댐 준설·관리 이력이 많다. 2023년에도 6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사방댐 준설 사업 일곱 곳, 보수 공사 다섯 곳, 외관 점검 두 곳을 했다. 특히 토사 유출 정황이 있는 계곡을 집중적으로 손봤다. 최고의 재난 예방은 조용하게 지나가는 것이다. A시는 올여름 폭우 피해지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단편적인 요소로 지자체 간 행정을 비교하려는 것은 아니다. 대형 참사가 남긴 교훈을 함께 고민하고 가자는 것이다.

 

자갈돌로 채워진 바닥과 그 위를 흐르는 부유물. 누가 봐도 재난을 막지 못할 사방댐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