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세계경제는 물론이고 각 부문에 위기로 몰아가고 있다. 그 위기가 지금 기존 사회질서를 통째로 바꿔 놓을 언택트(Un+Tact)에 불을 지피고 있다. 비대면 소비사회, 원격진료, 재택근무 등으로 새로운 단어로 등장하게 되었다.
글로벌 사회 경제적 변화에 중요한 모멘텀 제공과 코로나19 이후 예상되는 거시적 변화로 과학기술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진다. 이처럼 예측 불가능한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보다 다양한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다원화된 지원과 비대면 생존전략 정책들을 발 빠르게 전개하는 산업의 스마트화 대응을 위해 유연한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기업들의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 언택트 비즈니스 사업분야를 선점해야 한다.
디지털 유통과 물류에서 모빌리티까지 비대면 비즈니스 모델발굴과 활성화 방안을 비대면 비즈니스를 기존 디지털 기술혁신을 넘어 생활과 소비 가치전환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접근할 수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촉발한 유통과 물류, 모빌리티 시장 급변상황을 온·오프라인 시간 등으로 인사이트에 공유하며 유지하게 된다.
두번째로 창의적인 비대면 마케팅을 구상하라.
점원과의 불편한 접촉을 기피하는 젊은 세대를 타깃으로 언택트 마케팅이 확산되고 있다. 음식점에서 점원이 주문을 받지 않는 풍경이 이젠 낯설지 않으며, 패스트 푸드점과 소규모 식당들이 주문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무인 매장이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 추세다. 첨단기술을 활용해 소비자와 직접 대면하지 않고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언택트 마케팅이 불편한 접속을 기피하는 밀레니얼 세대를 중심으로 모바일 기기 사용 등에 익숙해진 중장년, 노년층까지 급속하게 확산일로에 있다.
셋째로 기업현장 애로기술을 언택트로 해소할 온라인 플랫폼에 집중해야 한다.
정부가 중소·중견기업이 현장에서 겪는 애로기술로 비대면 방식 정보 등을 지원받고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는 많은 중소·중견기업이 수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비대면 방식으로 기술애로 해소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코로나19 사태로 외부 전문가 대면을 꺼리는 기업들에게 새로운 해결책이 된다.
넷째로 사람과 접촉하지 않는 언택트 마케팅이 대세다. 눈빛·태도·표정·손짓 등 상대 설득기술은 대부분은 대면했을 때 발휘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소상공인들은 전자상거래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매장에 직접 방문하지 못해도 인터넷으로는 언제든 거래가 이뤄질 수 있다. 기업인들은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언택트 시장에 발을 뻗어야 한다. 전자상거래를 이용할 경우 미진한 오프라인 판매를 온라인 판매로 대체할 수 있으나, 기업인은 아직 전자상거래의 발판이 마련되지 않아 코로나19와 같은 상황에 대처할 수 없다.
언택트 전성시대의 적합한 예는 비대면 음식 주문 플랫폼 통합 운영관리 시스템이다. 음식 주문자가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와 주문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비대면으로 음식을 주문하는 플랫폼을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와 같이 단순 제조업 시대는 이제 꺾이고 새로운 비대면 시대의 순수한 특허데이터를 발생하는 산업으로 전환해야한다.
21세기 창조적 융합 언택트 사회로 변해가고 있다. 정부와 기업에서는 중소기업과 비대면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전략체계를 강화하고, 언택트에서 딥택트시대로 까지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때늦은 후회는 없어야 할 것이다.
장태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책임연구원·박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