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미세먼지 종합대책인 ‘평택 푸른하늘 프로젝트’ 추진 성과가 국무총리 주재 미세먼지특별대책위원회에서 사례로 발표되는 등 주목을 받고 있다.
정장선 시장은 지난 2일 국무총리가 주재하는 제4차 미세먼지특별위원회에서 ‘평택 푸른하늘 프로젝트’ 추진사항을 발표하고 미세먼지 문제해결을 위해 ‘12개 지자체 공동협의체 지원’, ‘평택항 배후지역 해양생태공원 조성’을 정부에 건의했다.
서해를 끼고 있는 평택시는 수도권과 지방을 잇는 접점지역 등 사통팔달 도시의 지리적 여건으로 인해 인근에 소재한 석탄화력발전, 평택항, 현대제철, 대규모 국가산단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편서풍을 타고 시를 비롯한 인근 지자체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에 시는 미세먼지 문제해결을 위해 2018년 7월 미세먼지 저감 종합대책 ‘평택 푸른하늘 프로젝트’를 수립해 대내ㆍ외 분야에 걸쳐 전 방위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수송산업분야 ▲녹지분야 ▲농업분야 ▲교육분야 ▲탄소저감분야 등 세분화해 미세먼지 저감정책을 마련했다.
특히 수소차량 경기도 최대보급, 수소생산시설 착공과 수소충전소 수소인프라 확보, 도시숲 조성, 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환경아카데미 추진 등 지자체에서 추진할 수 있는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무총리, 각 부?처 장관, 도지사, 국회의원을 수시로 면담해 미세먼지 대책을 논의했으며 평택항 항만관리구역 지정, 평택항 육상전력공급장치(AMP) 반영 등의 성과를 이뤄내기도 했다.
‘평택 푸른하늘 프로젝트’ 추진 결과 시는 작년 동기간(1~9월) 대비 32%의 미세먼지 감축률을 이뤄냈다. 이는 코로나19 영향을 감안하더라도 경기도 내 최고수준의 감축률이다.
시는 이날 미세먼지특별위원회에서 산업단지와 항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저감, 주민 친수공간 등을 위해 평택항 배후단지에 전체 항만지역 10%에 해당하는 165만2천900㎡ 규모의 해양생태공원 조성을 건의했다.
정장선 시장은 “평택시 미세먼지 원인은 수도권과 충청도 주요 미세먼지 원인을 공유하는 만큼, 평택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 한다면 전국 절반에 해당하는 2천700만 명 인구의 미세먼지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면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평택=최해영ㆍ박명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