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출연연구기관 산업연구원(KEIT)이 2021년 우리 경제가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3.1%), 국제통화기금(IMF)과 한국은행 전망치(2.9%, 2.8%)보다 매우 낙관적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발 변이 바이러스 펜데믹으로 전 세계가 대혼란을 겪는 것처럼 코로나 이후 예상되는 거시적 변화로 한국기업의 미래성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의 미래 대응전략들을 발 빠르게 전개하는 기업의 스마트화 대응을 위해 유연한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기업들은 만반의 준비가 필요하다.
우선, 한국기업의 구조혁신은 친환경, 디지털화 흐름, 디지털데이터 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산업구조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주력 산업인 철강, 석유화학 등을 혁신적 기술개발을 통해 친환경화로 전환하고, 4차산업의 핵심인 바이오, 전기차, 저탄소 신산업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육성하여야 한다. 디지털화는 주력산업에 데이터, 5G, 인공지능 등을 접목하여 신제품과 서비스를 획기적으로 개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하며, 철강은 인공지능 기술을 융합해 철강과 공정효율을 높여야 성과도 기대 이상으로 나온다.
둘째, 한국판 뉴딜 추진산업과 산업 활력 제고로 바이오, 전기차, 시스템 반도체로 대표되는 신산업을 육성하여 침체된 산업에 활력을 회복시켜야 한다. 빅3 신산업은 한국기업의 혁신성장 아이콘으로 기술개발과 인프라 구축지원을 통해 제2, 3의 핵심 반도체 사업으로 육성해 나가야 한다.
셋째, 코로나 발 잠재적 부실폭탄으로 260조의 출구전략부터 서둘러야 한다. 정부는 한국기업이 장사할 수 있는 터전을 만들어주는 일은 더욱 중요한 책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넷째, 한국에서 주당 52시간제 적용은 아직 무리수라는 것이 대부분 기업주의 평이다. 주당 52시간 근무제 확대시행이 실현됐다. 300인 미만 사업장에 적용된 이 제도 유예기간이 2020년 연말로 끝나면서다. 하지만, 2021년 1월 1일 시행으로 상당수 중소기업은 속이 타들어 가는 분위기다. 코로나발 불황 속에 이 제도가 중대한 진퇴양난의 기로에 선 기업 운영 대표들의 고민은 태산 같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데이터의 개방과 활용을 저해하는 법제도를 혁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상법·공정거래법·금융복합기업집단감독법 등의 경제 3법이 이미 국회를 통과했다. 법률제정의 이유가 된 ‘대주주의 의사결정권 독점’같은 문제가 일부 기업에만 해당하는 대다수 성실한 기업까지 이 법의 영향을 받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영국의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은‘좋은 위기를 절대 허비하지 말라’고 했다. 이제 디지털경제를 넘어서 데이터경제로 코로나 위기를 좋은 기회로 만들 수 있다. 국가 간의 경쟁에서 데이터경제의 대전환은 이미 시작되었다.
장태종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책임연구원ㆍ박사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