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자타공인의 한국 반도체 산업의 메카다. 2018년 기준 경기도 반도체 수출액은 548억달러로, 당해 국내 실적의 절반가량을 차지했다. 국내 반도체 기업 252개 중 163개사 경기도에 거점을 두고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반도체 산업은 첨단 산업이라는 점에서 고급 인력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유수의 대학과 우수한 교통여건, 풍부한 인구를 보유한 경기도가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유치하기 위한 가장 유리한 지역임을 의심할 수 없다. 또한 반도체는 부피가 작고 제품 특성상 충격에 취약해 선박 운송보다 신속하고 안정성이 높은 항공 운송이 더 적합하다. 선진적인 항공물류 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는 인천공항과 접근성이 보장된 곳이 바로 경기도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들을 종합할 시 경기도는 명실상부한 반도체 산업의 터전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걸맞게 경기도는 각종 행정 자원을 십분 활용해 반도체 산업 육성을 지원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가 용인 반도체클러스터를 ‘소부장 특화단지 지정’한 것은 반도체 산업에서 경기도의 지리적 이점을 극대화 할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화단지 지정을 통해 반도체 생산 기업뿐만 아니라, 디자인 및 R&D 센터 등 제조서비스업이 같이 입주해 시너지 효과를 불러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뿐만 아니라 인센티브, 규제합리화, 공동인프라 제공을 통해 기업친화적인 환경을 만드는데도 유리할 것이다.
더욱이 반도체 산업의 핵심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기술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경기도는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SK하이닉스의 대규모 투자를 이끌어낸 경험이 있다. 뿐만 아니라 올해 하반기 착공을 앞둔 용인반도체클러스터의 순항을 위해 상생협의체를 발족, 지역 갈등 해소를 목표로 하는 상생협약을 체결해 기업과 지자체, 지역주민들의 뜻을 한데 모으는 계기도 마련했다.
또한 경기FTA활용센터를 통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수출다각화를 위한 ‘FTA 활용지원사업’을 지원하고 있어 지역별 다자간 FTA가 활성화되는 가운데 반도체 관련 소부장 강소기업들이 해외 시장 개척을 통해 발전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반도체 산업은 인공지능에서 차량용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성장성이 무궁무진한 미래의 먹거리다. 이번 용인 소부장 특화단지 유치가 고용 측면에서는 양질의 일자리를 제공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의 생산의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아울러 과감한 투자 및 인재양성을 통해 비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도 기술력을 한 층 끌어올릴 수 있도록 경기도가 전 방위적인 지원을 펼쳐 나가겠다.
류광열 경기도 경제실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