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흥 목감동 구도심 주거환경개선사업 '이원화'...주민들 혼란

시흥 목감 제2 정비 예정구역. 시흥시 제공

시흥시가 구도심 ‘주거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정비예비구역으로 지정된 구역계 내 일부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나서면서 주민들간 갈등요인이 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26일 시흥시와 시흥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해 12월 ‘2030 시흥시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수립, 고시하고 1단계로 목감 제2구역(목감동 242-9 일원, 3만8천20㎡)을 정비예비구역으로 지정했다.

시는 이를 위해 최근까지 주민공람과 주민설명회 등을 개최, 구역 내 전체 개발을 전제로 한 개발계획 수립을 정책방향으로 잡고 용역을 발주, 정비구역 지정을 추진해 왔다.

시는 구도심과 목감 신도시 간 사업성 확보를 통한 개발격차 해소를 위해 이 곳을 2종 일반주거지역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종상향을 전제로 한 구역 지정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구역계 내 일부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혼선이 우려되고 있다.

가로주택정비사업은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에 관한 특례법’상 해당 구역계 내 주민들 80%의 동의를 받아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

현재까지 시에 동의서가 접수된 상태는 아니지만 주민들이 법상 동의율을 충족하고 사업을 추진할 경우 동일 구역 내에서 이원화된 방식으로 사업이 진행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 시의 정책방향에도 혼선이 빚어질 수 있다.

특히 전체 사업계획에 차질이 예상될 뿐만 아니라 주민들간 갈등과 자칫 누더기 개발사업으로 전락 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주민 조모씨(62)는 “열악한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지역간 불균형이 해소된다는 말에 이번 재개발정비사업에 기대감을 갖고 있었다”며 “하지만 주민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채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개발계획 추진에는 동의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한 주민 김모씨(57) 역시 “이 지역은 맞은편 신도시에 비해 도시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노후된 건물이 많아 지역간 불균형이 심해 재개발이 필요한 곳”이라며 “주민을 위한 개발방식이 아니라면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개발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시의회 이금재 부의장은 “목감 제2구역 내 800세대 약 2천여명의 주민들은 열악한 주거환경 개선과 지역간 불균형 해소에 대한 기대감과 함께 우려도 적지 않다”며 “시는 사업구역 내 주민들이 만족할 수 있는 개발사업이 진행 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시의 정책 방향은 신도심과 구도심 간의 균형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찾아가는 것”이라며 “지역주민들과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합리적인 개발방향을 잡아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시흥=김형수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