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수 기자

khs93@kyeonggi.com

용인특례시 출범 1년 앞두고 권한 확보 나선다

용인시가 용인특례시 출범 1년을 앞두고 특례권한 확보에 나섰다. 13일 용인시에 따르면 지난 12일 인구 100만 대도시 특례시 명칭 부여와 특례 인정조항 등이 담긴 지방자치법 전부개정법률이 공포되면서 내년 1월13일 용인특례시가 출범한다. 시는 법 시행 전까지 특례시에 핵심이 될 구체적인 특례사무 발굴 및 권한이양 등을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현재 전부 개정된 지방자치법에 구체적인 특례권한이 담겨 있지 않아 행재정적 자치권한과 재량권 등을 최우선적으로 확보한다는 것이다. 시는 앞서 지난해 12월부터 재정ㆍ조직ㆍ복지ㆍ대외협력분야 팀장과 실무지원반 등 12명으로 TF팀을 꾸려 특례시 실현을 위한 업무를 수행해온 가운데 고양ㆍ수원ㆍ창원시 등과 공동 TF팀을 운영한다. 공동 TF팀은 각 시 특례시 담당 실국장이 공동단장을 맡아 매월 1회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토론회와 간담회 등을 통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다. 공동 TF팀은 오는 19일 첫 회의를 열고 로드맵 공유 및 추진방법 등을 논의할 계획이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이름만 특례시가 되지 않도록 알짜 권한을 확보, 친환경 경제자족도시 용인의 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용인=강한수ㆍ김현수기자

용인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코로나19 장기화에 인력난ㆍ경영난 호소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용인지역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생산라인에 적신호가 켜졌다. 자원봉사자들과 장애인 근로자들의 발길이 끊겨 생산품 제작에 일손이 부족해졌기 때문이다. 13일 용인시 등에 따르면 장애인재활시설은 장애인들에게 취업기회를 제공하고 직업재활을 돕는 곳으로 보호작업장, 근로작업장, 장애인직업적응훈련시설 등으로 구분된다. 용인에는 보호작업장 5곳에서 직업훈련교사 51명과 장애인 근로자 140명 등이 근무 중이다. 보호작업장은 직업능력이 낮은 장애인에게 직업적응능력과 직무기능향상훈련 등 직업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가 발생한 지 한해가 지나면서 장애인재활시설 물품생산에 제동이 걸렸다. 앞서 보호작업장 측은 부족한 인력을 공급받기 위해 자원봉사자들을 지원받았으나 코로나19 예방을 이유로 자원봉사자 지원을 제한했기 때문이다. 중증장애인들 또한 자체적으로 출근을 자제하면서 인력은 더욱 부족해졌다. 상황이 이렇자 부족한 노동력을 메우고자 직업훈련교사들의 업무강도를 높여 겨우 할당량을 채우고 있다. 실제로 A보호작업장은 매월 자원봉사자 30여명을 지원받아 물품을 생산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이후 자원봉사자들의 지원이 끊기자 직원훈련교사들은 납품기일을 맞추기 위해 추가근무를 이어가고 있다. 시설장을 비롯해 직업재활교사 등 8명과 장애인 근로자 19명이 근무하는 B보호작업장은 월평균 원두 200㎏가량을 생산해왔지만 지난해는 부족한 인력으로 생산량이 3분의 1로 급감했다. 이 때문에 외부 지원 없이 오로지 생산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시설 특성상 장애인 근로자들의 임금 압박에도 시달리고 있다. B보호작업장 관계자는 할 일은 많은데 일할 사람은 없다. 코로나19가 장기화되자 종사자들의 피로도 한계에 이르고 있다며 코로나19가 얼른 종식되든지 인력지원이 있던지 한가지라도 수반돼야 숨통이 트일 것 같다고 토로했다. 시 관계자는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력난ㆍ경영난 해소를 위해 장애인 생산품 공동판매시설인 유니르를 활용할 계획이라며 장애인 물품 판매처를 확대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라고 말했다. 용인=김현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