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7일 오전 11시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 증후군)환자 발생ㆍ경유 병원의 명단을 발표하면서 일부 병원 명단이 오류로 확인되자 시민들은 정부 발표를 의심하는 어처구니 없는 일이 발생했다.
더욱이 이번 정부 발표는 국민들을 안심시킨다는 애초 취지와는 달리, 잘못된 정보 발표로 인해 국민불안감이 더욱 확산하고, 애꿎은 병원들이 피해를 보게 됐다는 지적이다.
7일 정부와 군포시에 따르면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메르스 대응 조치 브리핑에서 “이번 메르스와 관련,병원 명단전체를 공개한 것은 지금까지 정부에서 대응해왔던 기조와 달리 보다 차원 높은 총력적인 대응체제를 갖춤으로써 메르스 사태를 조기에 종식시키기 위한 방향성”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환자가 발생한 삼성서울병원(서울·17명)과 365서울열린의원(서울·1명), 평택성모병원(평택·37명), 아산서울의원(아산·1명), 대청병원(대전·3명), 건양대병원(대전·5명) 등 6곳을 제외한 나머지 18곳은 단순 경유한 병원으로 ‘감염 우려가 사실상 없는 곳’이라고 보건당국과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며 그 중 군포시 성모가정의학과의원을 메르스 확진환자가 경유한 곳이라고 명단을 공개했다.
그러나 군포시보건소 확인결과, 군포시에는 성모가정의학과의원이라는 병원은 없었으며 서울시 성동구 소재 ‘성모가정의학과’를 잘못 발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병원 명단 발표가 끝나자, 군포시 당직실과 보건소에는 병원의 소재지를 파악하기 위해 수백여통의 문의전화가 걸려왔으며, 군포시 관내 가정의학과의원 명칭을 가진 6곳의 병원에도 문의전화가 쇄도하는 등 한때 소동이 벌어졌다.
SNS에서도 한 시민은 ‘며칠 전 어머님이 군포시 소재 가정의학과를 다녀왔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른다’고 올리자 다른 네티즌이 ‘군포시 병원에서 메르스가 발병한 것이 아니다’라고 답변하면서 ‘정부발표에 신뢰가 안 된다며 분통을 터뜨린다’고 분개했다.
이날 군포시는 오후 3시에 김윤주 시장을 비롯해 보건소장, 국ㆍ실장이 참석하는 긴급대책회의를 열고 앞으로의 방안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김윤주 시장은 “정부의 발표오류에 대해 군포시 공무원들의 발빠른 홍보와 조치로 오류를 정정했다”며 “현재 군포시 관내에 메르스 확진자 1명은 서울 성동구 뚝섬에 있는 직장에서 대부분 시간을 보내 일반 시민들의 접촉이 없어 가족들만 자가격리중에 있으며 이동경로를 추적해 조치를 취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군포=김성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