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가 한 산촌마을에 수억 원을 들여 건립한 ‘잣 잎 액상차 공장’이 재정난으로 2년여째 가동을 멈추고 매각론이 제기되고 있어 막대한 예산만 낭비했다는 지적이다.
10일 시에 따르면 예산 6억 원(도비 3억 원. 시비 3억 원)을 들여 지난 2008년 10월께 신북면 금동리 333번지에 대지 2천300㎡, 건평 442㎡로 잣 잎을 주 연료로 한 액상차 공장을 세웠다. ‘잣잎차 및 그의 제조 방법’으로 한국식품연구원과 공동 특허도 받았다.
이어 2009년부터 주민으로 결성된 지동마을 영농법인이 야심 차게 운영을 시작했지만, 한계에 봉착했다. 전문성과 정보력, 마케팅 전략 등이 전혀 없는데다 대중성마저 떨어져 수억 원의 적자만 내고 2014년 결국 문을 닫았다.
이 과정에서 시는 2009년 신상품개발 연구용역 보고회를 한차례 개최하고 2012년 영농법인이 재정난을 겪자 판매촉진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 듯했지만, 흐지부지됐다.
이때부터 시가 액상차 공장이 재정위기를 겪는 것을 알면서도 정상화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포기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주민이 공장 문을 닫는 이후 폐쇄되지 않도록 밀린 세금과 전기료 등 600만 원을 내고 또다시 밀린 세금 650만 원은 감당하기 어려운 실정에 봉착했지만, 시의 지원은 전혀 없기 때문이다.
현재 주민들은 매각을 거론하고 있다. 하지만, 시는 이런 사실조차도 모르고 버려두고 있다.
시 산림녹지과 관계자는 “공장 매각은 처음 듣는 이야기로, 시 소유이기 때문에 주민이 마음대로 매각할 수 없다”며 “현재 공장 재가동을 위해 리모텔링을 준비하고 있지만, 주민 간 타협이 안 되고 계속 잡음이 나면서 액상차 공장을 관광객을 위한 체험 공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강구중이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어이없다’는 반응이다. 마을의 한 주민은 “주민 간 잡음과 공장 가동이 무슨 상관이 있으며, 2년여 동안 방관하다 이제 와서 주민 탓만 하고 있으니 어이없다”며 “흉물이 되기 전에 빨리 매각이나 폐기처분을 하든지 아니면 시가 적극적으로 나서 공장을 재가동하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한편, 지동산촌마을은 산림청과 경기도에서 애지중지하는 마을이다. 행정자치부에서 정보화 마을로 지정, 15억 원의 자금을 지원했고 올해와 내년에 대규모 캠핑장이 들어서는 등 대표적인 산촌마을로 타 시군에서 벤치마킹을 올 정도로 유명세를 타고 있기 때문이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