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 추진위-이장간 사업계획서 합의 종용… 뒷짐만
포천시 지동산촌마을 액상 차 공장 등 각종 정부지원 사업이 주민 간 불협화음으로 좌초위기를 맞고 있으나(본보 5월 11ㆍ16일자 00면) 시는 여전히 ‘주민 문제’라며 뒷짐만 지고 있어 비난을 사고 있다.
23일 시와 지동산촌마을 등에 따르면 신북면 금동리 지동은 경관이 수려하고 한때 주민이 화합해 자립하는 농촌마을로 자리 매김 하면서 행정자치부와 경기도로부터 정보화 마을로 지정돼 15억 원을 지원받은 대표적인 자립형 산촌마을이다.
그러나 현재 정부 자금이 투입된 팬션과 액상 차 공장 등이 운영 미숙과 관리 소홀로 방치되고 있다. 더욱이 주민 간 불협화음까지 끊이질 않으면서 급기야 고소, 진정 등 법정다툼으로 비화하고 있다. 한 때 선망의 대상이었던 지동산촌마을이 큰 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지동산촌마을의 상황이 이 같이 악화하고 있음에도 시는 여전히 방관만 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액상 차 공장이 수년째 방치되고 잣나무 목공예실 운영이 표류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지만, 여전히 ‘주민이 계획안을 가져오면 검토하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견지하고 있는 것이다.
지동산촌마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시 신림녹지과 S팀장은 “마을 이장과 추진위원회 간 갈등으로 사업계획서가 들어오지 않아 시로서는 합의될 때까지 기다릴 수 밖에 없다”며 “시가 나서면 주민 간 갈등만 더 부추기는 꼴이 돼 나서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L산림녹지과장은 한발 더 나아가 “주민 간 합의가 끝내 되지 않으면 지동산촌마을의 지원을 완전히 끊을 것이다”며 “액상 차 공장이나 잣나무 목공예실은 체험장으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주민들은 시가 눈치만 보며 복지부동하고 있다고 볼멘소리를 하고 있다. 이미 추진위에서는 사업계획서를 제출했음에도 시가 ‘이장과 합의해서 오라’며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마을 주민 A씨는 “주민 간 갈등이 생기면 적극적으로 나서 중재를 하고 합의를 이끌어내야 할 시가 주민 탓만 하는 것은 복지부동 그 자체다”며 “이렇게 하려면 뭐하러 추진위를 만들라고 했고 모든 사업을 추진위에서 하라고 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