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전세버스 지원금은 눈먼 돈?…경진여객 꼼수 수령

‘입석금지법’ 악용한 경영진 자신들이 대표로 있는 버스 투입
올해만 수원시 지원금 10억 예상 노조 “市가 주는 특혜나 마찬가지”
업체 “상황 고려한 최선의 선택”

광역버스 내 입석금지법을 악용한 경진여객운수(주)가 광역버스 차량과 운행횟수를 줄이는 대신 경영진이 대표로 있는 업체의 전세버스를 대거 투입, 지원금 챙기기에 급급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특히 수원시가 올해만 10억 원이 넘는 전세버스 지원금을 특정 회사에 지급하고 있어 형평성 논란까지 일고 있다.

 

21일 수원시와 경진여객운수, 경진여객 운수노조에 따르면 시는 올해 한시적으로 출퇴근시간 혼잡률이 높은 수원~사당 노선을 보유한 경진여객운수와 서울~강남 노선을 맡은 용남고속(주)에 전세버스 지원금을 지급하고 있다. 

시는 전세버스 편도 1회당 경진여객 9만 8천 원, 용남고속 11만 2천 원을 지원하고 있다. 현재 경진여객이 운영하는 광역버스의 법정 인가 대수는 총 89대(5개 노선)이며, 용남고속은 161대(12개 노선)를 운행 중이다.

 

그러나 상반기 지원금액이 1억 원대에 불과한 용남고속에 비해, 버스 인가 대수도 1.8배 가량 적은 경진여객에는 3배 가량에 달하는 지원금이 지급됐다. 특히 하반기에는 투입한 전세버스 운행량의 격차가 더 벌어져 지원금 지급액 차이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 형평성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지난 1월 A 전세버스 회사를 인수한 대표이사는 지난 3월 경진여객 운수를 인수했다. 이후 경진여객 운수가 보유하고 있던 광역버스 10여 대(예비차량 포함)를 매각한데다 운행횟수까지 줄이면서, 자신들이 대표로 있는 전세버스 업체 2곳 등의 버스를 집중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경진여객 전세버스 지원이 시작된 지난 3월 108회에 그쳤던 전세버스 투입횟수는 3개월이 지난 6월 1천830회로 급증했다. 결국 상반기(1~6월)에 총 4천68회에 달하는 전세버스가 투입돼 해당 회사는 3억 9천만 원의 지원금을 받았다.

 

더욱이 하반기에는 월평균 2천회(노조 추산)로 전세버스 투입횟수가 급증하면서, 1년간 10억 원이 넘는 시 지원금이 지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진여객은 지난 4월께 예비차량을 포함해 19대의 차량을 매각했다. 특히 매각차량의 대부분이 2년 미만의 신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경진여객 노조 관계자는 “출퇴근 시간 혼잡률 개선을 위한 전세버스 투입이 대표가 같은 특정 전세버스회사의 수익창출 모델로 변질되고 있다”며 “광역버스를 감차·감회하고 전세버스 운행을 늘리는 것은 시가 경진여객에 특혜를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용남고속은 상반기 동안 전세버스를 총 1천309회만 투입했으며, 경진여객이 받은 지원금보다 3배 가량 적은 1억 4천700만 원을 받아 대조를 이뤘다. 예비차량까지 동원하고 있는 용남고속은 하반기에도 상반기와 비슷한 정도의 전세버스만 투입되고 있다.

 

이같이 입석금지를 위해 전세버스 투입횟수가 매달 수천 건에 달하지만, 당초 법의 취지와는 달리 광역버스는 물론 출퇴근 시간대 집중투입되는 전세버스도 콩나물시루 같을 때가 대부분이어서, 지원금 투입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도내 광역버스노선 가운데 경진여객운수가 운영하는 노선은 현재 1~2위를 다툴 정도로 혼잡률이 높은 상황이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이용자가 많은 수원~사당 노선 특성 상 시민 불편을 줄이고자 임시방편으로 전세버스를 대거 투입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진여객운수(주) 관계자는 “내부적으로 모든 상황을 고려한 최선의 선택이었다”며 “전세버스 운영은 혼잡률이 높은 노선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이며 고의성을 가지고 지원금을 받은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명관 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