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 산하 공공기관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이 지난 1년 사이 400여 명이나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비정규직 채용을 줄이고 처우개선을 위해 앞장서야 할 공공기관이 오히려 비정규직을 양산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도내 비정규직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4년 비정규직은 도청 소속 473명, 산하 공공기관 소속 995명인 총 1천468명으로 집계됐다. 1년 뒤인 2015년에는 도청의 경우 483명으로 증가했지만 산하 공공기관의 비정규직이 800명으로 줄어들면서 총 1천283명으로 소폭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지난해 도청 소속 비정규직은 553명, 산하 공공기관은 1천190명으로 모두 증가했다. 1년 사이 총 460명의 비정규직이 증가한 것이다. 비정규직이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경기도가 비정규직 감축을 위한 노력에 소홀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비정규직 근로자가 정규직으로 전환된 비율 역시 매년 한 자리 수에 그치고 있다. 도청의 경우 2014년 정규직 전환율은 2%(14명/전체 473명), 2015년 2%(10명/483명), 지난해 3%(20명/553명) 수준에 불과했다. 도 산하 공공기관 역시 2014년 3%(37명/995명), 2015년 5%(43명/800명), 지난해 6%(82명/1천190명)로 소폭 상승하는데 그쳤다.
이런 가운데 도내 22개 산하 공공기관 중 절반가량인 14곳만 올해 정규직을 채용할 것으로 발표하면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사실상 ‘하늘의 별 따기’인 상황이다. 올해 정규직 채용 인원은 경기도시공사(2명), 경기연구원(1명) 등 57명에 불과하다.
도 관계자는 “도와 공공기관의 역할이 늘어남에 따라 업무상 필요한 인원을 임시로 채용하면서 비정규직 규모가 늘어난 것 같다”면서 “수치만 보면 비정규직이 계속해 증가하고 있지만 규모가 늘어난 만큼 비정규직 처우개선을 위해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이호준ㆍ한진경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