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정품·정량 판매주유소 36곳 선정·지정서 교부… 미선정업소 불량주유소 인식될까 ‘전전긍긍’

지역 주유업계 “줄세우기 불과”
영업 어려움 호소, 비판 목소리
市 “모니터링 등 통해 정착 노력”

성남시가 도내 최초로 추진하고 있는 정량·정품 판매주유소 제도에 대해 지역 주유업계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반발(본보 2016년 12월15일자 12면)하고 있는 가운데, 이 제도가 지난 1일부터 본격 시행되면서 지역 내 주유업계 줄세우기가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갈수록 비등해지고 있다.

 

16일 시와 지역 주유계에 따르면 시는 주유소 이용에 대한 시민들의 불신감 해소와 고객들이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분당제일주유소, 복정주유소 등 주유소 36곳을 정량·정품 판매 주유소로 선정하고 최근 명판과 지정서 등을 교부했다.

 

정량·정품 판매주유소는 평가위원회에서 지역 주유소 60곳을 대상으로 최근 5년 이내 행정처분사항을 평가해 수정구 9곳, 중원구 8곳, 분당구 19곳 등 모두 36곳을 선정했다. 시는 선정된 주유소가 석유관계법 위반으로 행정처분을 받으면 즉시 지정을 취소, 소비자가 손해를 입지 않도록 조치한다는 계획이다.

 

애초 시는 지난해 말 도내 최초로 가칭 ‘시민안심 모범주유소’ 선정사업을 추진하면서 모범 주유소 5곳을 선정했지만, 지역 주유업계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강력 반발하고 나섰고 시는 주유업계 여론 수렴을 통해 선정 업소를 대폭 늘렸다.

 

그런데도 지역 주유업계는 주유소 줄세우기에 불과한 전시행정일 뿐만 아니라 영업에 도움이 되지 않는 제도라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정량·정품 판매 주유소로 선정되지 못한 주유소는 자칫 문제가 있는 업소로 비칠 수 있어 어려움이 크다고도 호소하고 있다.

 

주유소 관계자는 “시가 밀어붙이면 따라갈 수밖에 없는 게 업계의 처지이고, 주유업계 현장 목소리를 제대로 낼 수 없는 실정”이라며 “정량·정품 판매주유소로 선정된 업소는 마치 모범 주유소이고, 선정되지 못한 업소는 불량 주유소로 인식될 수 있어 전전긍긍하는데 이 같은 심정을 시는 알 리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정된 주유소는 석유관계법 위반으로 행정처분을 받으면 앞으로 5년간 정량·정품 판매 주유소 선정에서 제외된다”며 “앞으로 시민들의 이용현황 등의 모니터링을 통해 정량·정품 판매주유소 제도가 제대로 정착, 시민들이 양질의 석유제품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성남=문민석ㆍ강현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