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정전 ‘신속대응’ 광명시 큰피해 막았다

市, 발생 3분만에 원인파악 ‘비상근무 체계’ 가동하고 피해신고 접수 혼란 최소화
한전과 정보공유 체계 시급

▲ 광명시청 전경. 광명시 제공
▲ 광명시청 전경. 광명시 제공

광명시가 지난 11일 발생한 광명과 인근 서울 서남부 일대 대규모 정전사태(본보 6월12일자 6면)에 신속한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시에 따르면 이날 정전으로 광명 전역에 전기공급이 차단돼 도로 신호등이 꺼지고, 공장, 쇼핑몰, 영화관 등의 운영이 중단됐다. 시는 정전 발생 3분 만인 이날 정오 56분부터 재난상황실은 원인을 파악하기 시작했다.

 

이어 양기대 시장은 즉시 안전총괄과장에게 정전 원인 파악과 비상근무 체계 가동을 지시하고, 자신의 SNS를 통해 재난상황실 전화번호(02-2680-2999)를 알려 피해신고 접수를 시민들에게 당부했다.

 

시장 비서실 번호도 공개해 신고 전화 폭주에 대비했다. 이날 오후 1시 20분에는 담당 공무원을 영서 변전소로 급파해 고장원인 및 복구상황을 파악했고 오후 1시 21분에는 재난문자 발송을 의뢰했다.

 

특히 시는 광명동굴에 정전 발생 5분여 만에 비상 발전기를 가동, 관광객 불안과 혼란 등을 최소화하는 등 신속한 대응으로 큰 피해를 막았다. 정전 발생 27분 후인 이날 오후 1시 20분부터 순차적으로 전기가 공급되면서 정전 상황이 종료됐고 엘리베이터 갇힘 사고가 21건 접수됐으나 시민들은 무사히 구조됐다.

 

시 관계자는 “준비된 매뉴얼대로 신속하게 대응한 덕에 큰 피해는 없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한국전력 및 국민안전처와 지자체와의 연계된 상황 대응은 아쉬움으로 지적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대규모 정전에도 큰 피해가 없어 다행이지만, 한전 등이 상황 및 정보공유가 원활하지 못해 자칫 큰 혼란이 빚어질 수도 있었다”며 “앞으로 이 같은 비상상황에 대한 기관별 역할과 대응조치 방안을 국민안전처 및 한전과 다시 한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광명=김용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