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위, 철도시설공단 이사장 만나
양측 진통끝 소통협의체 구성 합의
방음벽 설치 등 수용노력 약속받아
화성 송산~충남 홍성간 서해선 복선전철 건립공사의 화성구간 지화화 갈등(본보 2017년 3월9일자 12면) 문제가 해결의 실마리를 찾았다.
1년 넘게 줄곧 ‘지하화’만을 요구해오던 화성 시민들과 ‘수용 절대 불가’ 입장을 고수하던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진통 끝에 소통협의체를 구성, 논의에 나서기로 전격 합의했기 때문이다.
서해선복선전철지하화대책위원회 회원 40여명은 25일 오전 9시 대전의 한국철도시설공단을 집단 항의방문, 김상균 이사장과 면담했다. 대책위 출범 이후 공단 이사장과의 면담은 처음이다.
화성에 지역구를 둔 오진택ㆍ김인순 경기도의원과 송선영 화성시의원, 더불어민주당 김용 화성갑 지역위원장 등 정치인들도 동석했다.
면담에서 양측은 시민들의 요구를 취합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소통 협의체를 구성키로 합의했다.
또 김 이사장은 서철모 화성시장을 만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 ▲터널형 방음벽 설치 ▲철로 주변 50m 녹지공원 조성 등 대책위 요구사항에 대해서도 합의점을 찾겠다고도 약속했다.
이날 면담 성사는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 소속 오진택 의원이 지난 23일 이사장 면담 요청 공문을 발송하면서 발단이 됐다. 철도공단은 24일 ‘이사장이 아닌 충청본부장과 면담이 가능하다’고 회신했고 급기야 대책위원들은 집단 항의방문을 감행했다.
이날 이사장 면담을 요구하는 대책위 회원들을 공단 직원들이 막아섰고 2시간여 동안 고성이 오가며 양측이 대치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직원과 실랑이를 벌이던 주민 1명이 부상을 입어 병원에 이송됐다.
서해선 복선전철 지하화 갈등은 화성 향남읍 통과구간(향남 1택지지구와 2택지지구 사이) 2.5km를 지상 15m 높이 교각으로 관통하는 것이 알려지면서 시작됐다.
주민들은 지난해 초부터 지역 단절과 소음ㆍ매연피해 등을 우려하며 지하화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지난해 7월과 지난 4월 제암리와 노하리 공사현장에 들어가 공사중지를 요구하던 대책위 회원 2명이 영업방해로 고발을 당해 벌금형을 받기도 했다.
대책위 관계자는 “1년 넘게 항의했지만 이제서야 이사장을 면담할 수 있었다. 공단이 화성시민의 생명권과 재산권을 보장해 줄 수 있도록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철도공단 관계자는 “소통협의체가 구성된 만큼 주민들의 요구사항과 철도공단의 입장을 놓고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찾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서해선 복선전철 건설사업은 한국철도시설공단이 공사를 발주, 화성 송산과 충남 홍성 간 90㎞를 연결하는 여객 및 화물 철도로 지난 2015년 5월 착공, 오는 2020년 개통할 예정이다.
화성=박수철ㆍ홍완식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