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건립 중인 성남시의료원이 공공성 논란(본보 11월21일 12면)에 휩싸인 가운데 최근 성남시와 시민단체가 면담을 가졌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향후 성남시의료원 운영방식 등을 두고 양측 간 진통이 불가피하게 됐다.
3일 시와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 등에 따르면 은수미 성남시장과 김용진 공동대표 등 5명은 최근 시청에서 면담을 가졌다.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은 이 자리에서 “성남시의료원을 서울의료원 정도의 규모에 대학병원급 진료 수준과 장비를 갖춘 병원으로 만들자는 게 시민들의 요구”라며 “이전에 추진돼 온 방향이 있었는데 최근에 모델이 바뀌는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은 시장은 “성남시의료원은 2016년부터 3년 동안 병상규모, 의료수준 등 모든 면에서 서울의료원을 모델로 해 준비돼 왔다”며 “하지만 인건비, 장비, 시설비, 땅값까지 약 4천억 원 규모의 비용을 들여 짓는 성남시의료원은 기존보다 더 나은 지방의료원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적자이지만 공익을 위해 운영해야 하는 이유, 그에 대한 효과 및 계획 등 분명한 마스터플랜이 수립됐어야 한다. 이는 수익성 추구의 문제가 아니라 의료수준과 재정건전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 시장은 또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모 대학병원과의 모자협력병원 체결 예정설에 대해서도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양측은 이날 2시간 가까이 대화를 나눴지만 의견의 차이를 좁히지는 못했다.
성남=문민석ㆍ정민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