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성 논란 휩싸인 성남시의료원 해결 나선 성남시…시민단체와 여전히 평행선

내년 하반기 개원을 목표로 건립 중인 성남시의료원이 공공성 논란(본보 11월21일 12면)에 휩싸인 가운데 최근 성남시와 시민단체가 면담을 가졌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면서 향후 성남시의료원 운영방식 등을 두고 양측 간 진통이 불가피하게 됐다.

3일 시와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 등에 따르면 은수미 성남시장과 김용진 공동대표 등 5명은 최근 시청에서 면담을 가졌다.

공공의료성남시민행동은 이 자리에서 “성남시의료원을 서울의료원 정도의 규모에 대학병원급 진료 수준과 장비를 갖춘 병원으로 만들자는 게 시민들의 요구”라며 “이전에 추진돼 온 방향이 있었는데 최근에 모델이 바뀌는 것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은 시장은 “성남시의료원은 2016년부터 3년 동안 병상규모, 의료수준 등 모든 면에서 서울의료원을 모델로 해 준비돼 왔다”며 “하지만 인건비, 장비, 시설비, 땅값까지 약 4천억 원 규모의 비용을 들여 짓는 성남시의료원은 기존보다 더 나은 지방의료원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적자이지만 공익을 위해 운영해야 하는 이유, 그에 대한 효과 및 계획 등 분명한 마스터플랜이 수립됐어야 한다. 이는 수익성 추구의 문제가 아니라 의료수준과 재정건전성을 전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은 시장은 또 시민단체가 주장하는 모 대학병원과의 모자협력병원 체결 예정설에 대해서도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양측은 이날 2시간 가까이 대화를 나눴지만 의견의 차이를 좁히지는 못했다.

성남=문민석ㆍ정민훈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