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예산 점검] 경기도 예산 70조 시대 맞는다...“경기남부권에 집중된 예산건전성은 개선돼야”

▲ 경기도청 전경

경기도가 ‘예산 70조 원 시대’를 맞이할 전망이다. 도와 도내 31개 시ㆍ군이 62조 원 규모의 본예산 편성을 마친 가운데 다음 달 추가경정 예산이 더해지면 70조 원을 가뿐히 넘길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이다. 다만 단순히 커진 당치 뿐만 아니라 경기남부 등 일부 지역만 양호한 예산건전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목됐다.

28일 도에 따르면 올해 첫 추경 예산 편성(다음 달 예정)을 앞둔 도는 최근 도와 도내 31개 시ㆍ군의 본예산 편성 결과를 정리한 ‘2019년도 경기도 예산개요’를 수립했다.

예산개요를 보면 올해 도와 31개 시ㆍ군을 포함한 경기지역 총 본예산은 62조 3천617억 원(도 24조 3천731억 원, 시ㆍ군 37조 9천886억 원)이다. 이는 지난해 추경 전 예산(56조 9천241억 원)과 비교했을 때 5조 4천376억 원(9.6%)이 늘어난 수치다. 이에 따라 다음 달 예정된 추경 예산까지 고려한다면 올해 경기지역 최종 예산은 70조 원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도내 지자체들이 매년 추경마다 총 10조 원가량의 예산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최근 추경 때 늘어난 예산 규모를 보면 지난해 9조 1천795억 원, 2017년 11조 3천301억 원 등이다.

이처럼 경기지역 예산 규모가 매년 증가하는 가운데 시ㆍ군별 예산건전성 및 재정자립도 격차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우선 지자체의 예산건전성을 보여주는 주민 1인당 자체수입액(지방세+세외수입)을 보면 이천과 화성 등 남부권 도시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천(217만여 원)이 최고액을 보였으며, 화성(176만여 원)ㆍ성남(127만여 원)ㆍ평택(122만여 원) 등의 순이다. 이들 지역이 상위권을 포진한 이유로는 막대한 세금을 지급하는 삼성ㆍSK 하이닉스 등 대기업이 몰렸다는 점이 꼽혔다.

최저 지자체는 의정부(50만여 원)다. 재정 상태가 열악할 것으로 예측된 가평(110만여 원)ㆍ연천(132만여 원)은 인구가 적다 보니 1인당 자체수입액을 따졌을 때 중위권에 자리했다. 31개 시ㆍ군의 평균은 92만여 원이다.

이와 관련, 지자체의 세입기반이 좋고 나쁜지를 알 수 있는 재정자립도(전체 재원에 대한 자주재원의 비율ㆍ올해 본예산 기준) 역시 남부권 지자체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도내 시ㆍ군 평균이 47.9%를 보인 가운데 화성이 68.9%로 가장 높았으며, 성남(64.6%)ㆍ용인(60.8%)ㆍ이천(56.8%)ㆍ하남(56.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최하위 5개 지자체에는 연천(20.5%)ㆍ양평(22.1%)ㆍ가평(23.6%)ㆍ포천(26.8%)ㆍ여주(28.7%) 등 북부권 지자체가 주로 속했다.

도 관계자는 “대기업 입지와 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도내 시ㆍ군들이 자체수입액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며 “다만 추세로 보면 2017년부터 전반적으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앞으로도 도내 재정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관련기사 3면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