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내 대다수 하수처리장이 오염물질 기준치 초과 오·폐수를 방류(본보 8월 7일자 1·3면)한 것이 드러난 가운데, 인천시가 하수처리장 현대화·증설 사업을 추진하는 대책을 내놨다.
백현 시 환경국장은 7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폐수 방류 등의 문제 해결을 위해 승기·공촌·만수 하수처리장을 현대화 또는 증설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는 승기하수처리장 현대화를 민간투자방식(BTO-A)으로 추진한다. BTO-A는 30%까지의 손실은 민간이 감수하되, 30%를 넘으면 시가 재정을 지원한다. 반대로 이익이 발생하면 시와 민간이 7:3 비율로 공유한다.
시는 승기 하수처리장 부지 중 해안도로와 인접한 곳에 시설을 지하화 할 방침이다. 기존 부지엔 체육시설과 아파트 등 도시개발을 한다. 시는 공유재산 매각 및 도시개발 방식으로 사업비 일부를 마련한다. 승기하수처리장은 1995년부터 운영 중인데, 시설 노후화와 남동공단의 오·폐수 유입 등으로 방류 수질이 기준을 초과하는 등의 문제가 심각하다.
시는 또 공촌 하수처리장은 1일당 처리 용량을 10만4천㎥까지 늘리는 증설 사업을 추진한다. 또 정화시설(분리막)도 교체한다. 이 곳의 처리용량은 1일 당 6만5천㎥이지만 청라 국제도시 인구 증가 등으로 하수 유입량이 증가, 방류 수질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업비는 인천도시공사 등이 부담한다.
시는 만수 하수처리장도 하수 유입량이 처리용량(7만㎥/1일)을 초과 중인 만큼, BTO-A로 1일 10만5천㎥의 하수 처리가 가능하도록 증설한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환경부로부터 2020년 상반기 중 승인받아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백 국장은 “승기·만수 하수처리장 현대화, 증설 사업을 BTO-A로 추진하면 오는 2025년까지 2천600억원의 흑자가 예상된다”며 “이 이익금과 국비를 투입해 20년 이상 노후하수관로 3천120㎞ 조사 및 정비사업을 추진, 오·폐수 방류 등의 문제를 방지하겠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