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양주시 화장장 건립, 주민과의 충분한 소통 권고할 것”

양주 화장장 갈등 장기화… 김동연 "주민 소통 전제되어야"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조감도. 양주시 제공
양주시 공동형 종합장사시설 조감도. 양주시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을 둘러싼 갈등(경기일보 6월30일자 1·3면 등)과 관련해 “장사시설 설치는 지자체 와 주민간의 폭넓은 소통이 전제돼야 한다”며 “경기도도 관심을 갖고 시·군과 함께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4일 경기도청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기도 양주시 종합장사시설(화장터) 전면 재검토 청원’에 대해 “장사시설 설치 권한은 법령에 따라 시장·군수에게 부여돼 있어 도의 직접 개입에는 한계가 있다”면서도 “양주시가 사업 후보지에 대해 지역 주민과 충분히 소통하도록 경기도 차원에서 권고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도내 화장장은 수원·용인·화성·성남 등 경기 남부 지역에만 4곳이 있다. 이로 인해 경기 북부 주민들은 강원도 등 타 시·도로 ‘원정장례’를 떠나는 불편을 겪고 있으며, 시간적·경제적 부담까지 함께 안고 있다.

 

이 같은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양주·의정부·남양주·구리·포천·동두천 6개 시는 협의를 거쳐 양주시에 공동형 종합장사시설을 건립하기로 뜻을 모았다. 양주시는 2023년 ‘방성1리’를 후보지로 선정했으나, 주민들 사이에서 찬반 갈등이 불거졌다. 이에 따라 양주시는 지난 5월 대안부지를 재공모했지만, 신청된 2곳 모두 부적격 판정을 받아 결국 지난달 16일 원안 부지를 다시 후보지로 결정하게 됐다.

 

김 지사는 “양주 지역에는 찬반 여론이 공존하고 있다”며 “찬성 측 주민들은 ‘원정장례’ 등 주민 불편 해소를 위해 장사시설의 조속한 건립을 바라고 있고, 반대 측 주민들은 소통 부족, 정주 여건 훼손 등을 우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옥정·회천 신도시 지역에 많은 인구가 새로 유입되며 정주여건이 변화하고 있는 만큼 지역 주민들과 더욱 폭넓은 소통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공감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 지사는 “장사시설 설치는 시장·군수 권한이지만,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건립 사업이 지역 간 연대와 협력, 주민과의 상생 속에서 추진될 수 있도록 경기도도 시·군과 함께 세심하게 살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관련기사 : 양주시 종합장사시설 재추진에 도민청원 1만명 돌파…김동연 지사 답변 예고

https://kyeonggi.com/article/20250704580088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