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 이로써 한국 총 16건 보유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한국의 김장 문화가 인류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됐다.

지난 5일(한국시각)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열린 제8차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김장문화(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 in the Republic of Korea)'가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되면서 한국은 종묘제례·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 단오제 등에 이어 총 16건에 이르는 인류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날 무형유산위는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 세대를 거쳐 내려온 김장이 한국인들에게는 이웃간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는 한편 그들 사이에 연대감과 정체성, 소속감을 증대시켰다"면서 "김장의 등재는 비슷하게 자연재료를 창의적으로 이용하는 식습관을 가진 국내외 다양한 공동체간의 대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 대표단으로 바쿠 현지에 파견된 박희웅 국제교류과장은 "애초 우리가 신청한 이름은 '김장문화(Kimjang; Making and Sharing Kimchi)'였지만, 의장단 회의에서 한국의 김장문화를 대상으로 한 것이므로 영문 명칭에 'in the Republic of Korea'라는 말을 붙이기로 했다"면서 "따라서 정확한 등재 명칭은 '김장, 한국에서의 김치 만들기와 나누기'가 된다"고 전했다.

한편 앞서 김장문화는 등재 심사에 앞선 무형유산위 심사보조기구(Subsidiary Body) 사전 심사에서 방글라데시, 중국, 이탈리아, 일본, 키르기스스탄, 페루의 등재신청서와 함께 만장일치로 '등재(inscribe)권고'한 7종목 중 한 종목에 포함됨으로써 등재가 확실시된 바 있다.

온라인뉴스팀

사진= 김장문화 유네스코 등재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