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비 등 2억3천여만원 투입, 통상 시공비 두배 넘어
과다 지출 지적에… 市 “도급계약사가 제출한 정산”
포천시가 국도변에 무단으로 높이 12m의 대형 광고탑을 설치(본보 13일자 10면)해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 국고 보조금으로 설치된 광고탑 시공비가 통상 시공비의 두배 가까이 투입된 것으로 밝혀져 혈세낭비 논란이 일고 있다.
21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국토교통부로부터 장자산단 진입로 조성사업비로 289억원을 교부 받았다.
이 중에는 광고탑 시공비도 도로전광표시물로 표기돼 2억3천500만원이 포함돼 있다.
시는 경북 포항의 H기업과 보상비를 제외하고 109억6천여만원에 진입로 조성사업을 위한 도급계약을 체결했고, H기업은 광고탑 시공을 시 관내 광고업체인 또 다른 H사와 2억3천400여만원에 계약했다.
그런데 광고탑 시공 정산내역에 재료비와 노무비로 9천500여만원, 일반경비로 1억4천여만원 등 2억3천500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기재돼 있어 과다 지출 논란이 일고 있다.
시 관계자는 “광고탑을 세우기 위한 기초공사비”라고 밝혔지만 광고물 제조사들은 “이 정도 광고탑 규모라면 설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겠지만 통상적으로 1억원 안팎이면 시공할 수 있는데 기초공사비로만 1억원 이상이 들어갔다는 것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즉 시공단가가 부풀려졌거나 과다하게 지출됐다는 것이다.
시 광고협회장을 지냈던 A씨(54)는 “실제 시공을 했던 대표도 처음에는 1억원 정도면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다고 했다가 무슨 말을 들었는지 나중에는 이번 공사에서 남는 것이 없었다고 말을 바꿨다”며 “누구에게 물어봐도 이 금액은 과다하게 책정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각에서는 사업계획서 상의 금액대로 계약한 경우가 거의 없고 20%정도는 감액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렇게 100%로 계약된 것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까지 보이고 있다.
시민 B씨(45)는 “국비를 들여 만든 광고탑이 무단으로 설치된 것도 한심한 일이지만, 국민 세금이 과다하게 집행됐다면 더 큰 문제”라며 “이미 정산은 됐지만 타당하게 계약됐는지 철저히 조사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전략사업과 관계자는 “도급계약사가 제출한 정산서에서 도로전광표시물 설치 비용이 2억3천400여만원으로 정산돼 그렇게 알고 있다”고 말했다.
포천=김두현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