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10마리 중 8마리 AI살처분
계란대란 등 장기화 후폭풍 우려
경기도 가금류 산업이 AI 바이러스에 무차별적으로 무너지면서 도내 산란종계(씨닭) 10마리 중 8마리가 땅 속에 묻힌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번식용 닭의 몰살은 결국 산란계로 키울 병아리 감소로 이어져 계란 대란은 장기화 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26일 경기도와 대한양계협회 등에 따르면 이날 현재까지 도내에서는 평택과 안성, 이천시에 위치한 4개 농가에서 28만4천 마리의 산란종계가 살처분 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도내에서 사육 중인 산란종계 전체 36만3천 마리의 약 79%에 달하는 수치로 도내에 남게 된 산란종계는 8만 마리에 불과한 상태다.
결국 산란종계 1마리가 대개 110마리가량의 산란계를 생산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3천만여 마리의 산란계가 자취를 감춘 셈이다.
이처럼 AI가 산란계 농가를 중심으로 확산되며 계란 대란의 장기화는 불가피해졌다.
AI로 2만여 마리의 산란종계를 모두 살처분한 도내 한 농가 관계자는 “잘 버텨오다 결국 AI 바이러스 로 직격탄을 맞았다”면서 “당장 생계도 답답하지만 산란종계가 없으면 결국 산란계도, 계란도 없는 사태가 빚어질텐데 걱정이다”고 토로했다.
육계 또한 마찬가지로 사육기반이 흔들리고 있다. 치킨 등 닭고기용 ‘육계’를 낳는 ‘육용종계’의 경우, 전체(156만 5천 마리)의 20%에 달하는 32만 5천 마리가 살처분된 것으로 집계됐다. 현재까지 닭고기 값 인상 등 2차 파동은 이어지지 않고 있지만 육용종계가 타격을 입으면서 공급 감소로 인한 닭고기 가격 인상 또한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산란계 및 육계 피해 상황을 제대로 인지하고 대처해야 할 경기도는 종계와 관련된 기본적인 수치조차 제대로 집계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굳이 분리해 파악할 필요가 없다는 궁색한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도 축산정책과 관계자는 “산란종계와 육용종계를 굳이 구분할 필요가 없어 ‘종계’로 묶어 집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 등 업계는 산란종계와 육용종계의 경우, 사육 목적에 따라 완전히 다른 품종이기 때문에 구분관리하거나 대응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정부의 살처분 보상금이 산란계, 육계, 토종닭 등 각 닭 종류별 시세를 바탕으로 책정되는 만큼 반드시 구분지어야 할 사안이라는 게 공통된 의견이다.
대한양계협회 관계자는 “고기로 쓰이는지, 알 낳는 목적으로 쓰이는지에 따라 닭의 품종이 달라지고 그 가격도 당연히 다르다”며 “게다가 품종에 따라 여러 비용이 달라지는데 묶어서 구분하는 것은 잘못된 방식”이라고 꼬집었다.
유병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