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장 이어 군공항 이전 수원·화성시 커지는 갈등

道, 조정협의회 구성… 중재 나서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가 선정(본보 17일자 1면)된 가운데 수원시ㆍ화성시가 각 지자체의 운명을 건 ‘일전’을 예고하고 있다. 

앞서 화성 광역 화장장인 ‘함백산 메모리얼 파크’를 두고 수원 호매실 주민들과 화성시가 갈등을 빚은 데 이어 군공항까지 ‘2라운드’를 맞게 되면서 양 지자체간 갈등의 골이 깊어졌기 때문이다.

 

19일 수원시와 화성시 등에 따르면 화성시의회는 지난 17일 오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수원 군공항 화성시 이전 결사반대 성명서’를 발표하고 의원 전원(18명)이 이전 계획 반대를 위한 투쟁을 다짐했다. 특히 시의회는 특별위원회(위원장 김혜진 의원, 부위원장 이홍근 의원 등 9명)도 구성, 화성시와 공동 대응키로 했다.

 

화성시 또한 ‘군공항 이전 저지 비상대책본부’를 구성, 국방부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법원에 제출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군공항 이전 반대 화성 범시민대책위(반대위)’ 등 시민단체도 오는 28일 국방부와 수원시청 앞에서 1천 명 규모로 집회를 열 예정이다. 말 그대로 군공항 이전을 막기 위한 ‘총력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미 수원시와 화성시는 지난 2014년 화성 광역 화장장 건립으로 한 차례 맞부딪친 전력이 있다. 화장장 건립 부지가 서수원 칠보산과 2㎞ 정도 떨어진 거리에 위치하면서 서수원권 주민들이 반발하고 나선 것이다. 현재 진행형인 화성 화장장에 더해 군공항 이전 문제까지 겹치면서 양 지자체의 충돌은 불가피한 현실로 갈등 해소를 위한 대책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대해 수원시는 대화와 협의를 대전제로 군공항 이전을 풀어나가겠다는 원칙을 밝혔다. 도태호 수원시 제2부시장은 “수원 군공항 이전을 위해서는 화성시와 지역 주민들과의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역지사지의 자세로 협의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 또한 대응책 마련에 나선다. 도는 ‘갈등조정협의회’를 구성, 기관ㆍ단체ㆍ주민 간 표면화되는 갈등을 해소하고 해결안을 마련해 적극적인 중재에 나설 예정이다.

 

결국 공은 주민투표를 통해 결정될 전망이다. 현행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상 국방부 장관은 이전후보지 지자체장에게 주민투표를 요구할 수 있게끔 돼 있다. 여기에서 유권자의 3분의 1 이상이 참여, 과반을 얻어야 이전 여부가 확정된다.

정일형ㆍ이관주ㆍ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