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전초기지’ 인천 남북 경제통일 이끈다

서해평화협력지대 조성 등 文 대통령, 대선 공약 속도
개성공단 재가동 기대감도

인천시는 통일을 향한 전초 기지로 지목되고 있는 곳이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를 인식하고 대선 후보시절 인천에 대한 공약으로 통일을 염두에 둔 공약을 내놨다. 대표적으로 문 대통령이 내세운 공약은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조성이다. 이는 인천~개성~해주를 잇는 ‘황금의 평화 삼각축’을 중심으로 황해권 경제블록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남한의 자본과 북한의 노동력을 통합해 경제통일을 염두에 둔 구상이다. 이를 통해 인천을 중심으로 영종도와 강화를 잇는 도로를 개설하고 향후 강화~개성 간 도로 개설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후 제1·2외곽순환도로와의 연결을 통해 수도권에서 개성을 거쳐 평양과 남포~신의주를 연결해 서해안경제벨트를 구상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개성공단 폐쇄조치가 철회될 수 있지 않겠냐는 기대감과,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급속히 얼어붙은 남북관계 여파로 영영 문을 닫을 것이라는 우려감이 교차하고 있다.

 

박근혜 정부의 일방적인 개성공단 폐쇄로 입주·협력업체들은 경영상 막대한 차질을 빚은데다 제대로 된 피해보상조차 받지 못하고 일터에서 쫓겨나 심각한 자금난을 겪고 있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 출범으로 남북교류가 재개된다면 남북교류의 상징과도 같은 개성공단이 재가동 될 수 있으리라는 희망의 불씨를 고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외 사정은 결코 녹록치 않다. 북한이 기습적으로 ICBM(대륙간 탄도 미사일) 미사일 발사를 강행하면서 남북관계가 얼어붙었기 때문이다. 정부 차원에서 독자적인 대북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와중에, 이미 사용한 정부 독자 제재의 큰 축인 개성공단 재가동을 논하기는 상당히 어려운 상황이다.

 

또 서해5도 주민들은 정부 차원의 화해 분위기가 민간 차원까지 확대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상에서 ‘해상 파시’가 실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다.

 

연평도를 비롯한 서해5도가 긴장의 바다에서 평화의 바다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해상파시’를 통해 일종의 바다 위 개성공단을 구축해야 한다는 견해에 힘이 실리고 있는 것이다. 통일 이후 서해5도가 대규모 해상관광단지로의 변모를 꿈꾼다면, 통일을 준비하고 우리 바다를 위협하는 중국어선을 막기 위해서 남북이 협력할 수 있는 길이 바로 해상파시다.

주영민기자ㆍ양광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