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모든 산하 공공기관 대상 면밀한 조사 계획 ‘관심 집중’
수의계약 대상자로 선정 이유 핵심쟁점 전망… 숨죽인 관가
경기도내 산하 공공기관이 자신들의 경영평가를 실시했던 연구원과 관련 있는 컨설팅회사에 수의계약으로 연구용역을 주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본보 8월7일자 1면) 경기도가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경기도는 현재까지 드러난 3개 기관 6건의 연구용역 이외에도 전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인데, 수의계약 대상자로 ‘이들 업체를 선정한 이유’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9일 경기도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공개돼 논란이 일고 있는 경영컨설팅 업체에 대해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현재 의혹을 받고 있는 공공기관에 관련 자료를 제출받아 검토한 후 본격적인 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과 경기복지재단 등 3곳의 공공기관은 ‘공공기관 경영평가’를 담당했던 연구원들이 직접 근무했거나 관계자가 근무하고 있는 경영컨설팅 회사(T사, H사)에 연구용역을 수의계약 방식으로 줬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들이 의뢰한 용역은 현재까지 총 6건 8천600여만 원이다.
도는 공공기관들이 △T사와 H사를 어떻게 알게 됐는지 △수의계약으로 연구용역을 의뢰한 이유는 무엇인지 등을 집중 점검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조사에서는 공공기관이 이들 업체에 수의계약을 준 이유가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를 의식한 것인지’가 핵심 쟁점이 될 전망이다.
또 도는 3곳의 공공기관 이외에도 도 산하 공공기관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 범위를 확대,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연구원들이 소속된 또 다른 회사가 있는지, 그러한 회사와 계약을 체결한 기관이 있는지 등도 함께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도는 경기복지재단이 T사에 의뢰해 수행한 연구용역 결과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이 H사에 의뢰해 수행한 연구용역 결과가 매우 유사하다는 사실이 본보를 통해 알려짐에 따라 ‘T사와 H사의 연결고리’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조사하겠다는 방침이다.
도 관계자는 “단순히 특정업체와 일부 기관이 아닌 공공기관 경영평가 전체 구조에 대해 점검을 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경영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A사에도 사실 관계를 공식적으로 확인하겠다”며 “법적 위반 사항이 있다면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호준ㆍ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