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평가 담당업체와 관련된 회사에 연구용역 줘
복지재단·가족여성연구원 등 3곳, 6건 계약 체결
경영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민간업체에 잘 보이기 위한 방법’이라는 것인데, 이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어서 경기도 차원의 진상조사가 시급히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매년 산하 공공기관의 경영평가와 산하 공공기관 CEO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2009년부터 2014년까지는 경기연구원이 평가를 실시했으며 이후 2015년부터 올해까지 서울시에 있는 A사가 3년 연속 경영평가를 담당해 왔다.
이런 가운데 공공기관들이 경영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A사 관계자들과 관련이 있는 회사에 연구용역을 ‘수의계약’으로 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의혹을 받고 있는 업체는 가평군에 위치한 T사와 서울시에 위치한 H사 등 2곳이다.
이에 본보가 경기도내 25개 산하기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경영공시’를 통해 이들 업체와 계약한 현황을 확인한 결과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4건, 경기복지재단 1건, 경기도문화의전당 1건 등 총 3개 기관에서 6건의 연구용역을 이들 업체와 계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6건의 용역은 모두 2천만 원 이하 규모로서 ‘수의계약’을 통해 용역이 진행됐다.
먼저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을 보면 연구원은 올해 3월 T사에 1천200만 원을 주고 ‘개인성과관리 및 근무성적평정제도 개선 컨설팅’을 의뢰했다.
이 과정에서 T사는 위임장을 통해 해당 용역 계약 및 서류제출 관련 업무 제반사항을 김 모씨에게 위임했는데, 김 모씨는 A사 소속으로 도내 공공기관 경영평가 연구를 수행했던 연구원이다. 또 T사의 입찰대리인으로 명시돼 있는 심 모씨와 또 다른 김 모씨 역시 모두 A사 소속으로 도내 공공기관 경영평가 연구를 수행했던 연구원인 것으로 확인됐다.
가족여성연구원은 지난해 10월에도 T사에‘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용역’을 수의계약으로 의뢰했다.
이와 함께 가족여성연구원은 H사에 지난해 3월과 2015년 11월 각각 ‘보수제도의 합리적 개선 및 운영방안 마련’ㆍ‘가족여성연구원 경영효율화를 위한 직무분석 용역’을 수의계약으로 의뢰했다.
이런 가운데 H사에서 진행한 두 용역의 책임컨설턴트로 명시된 인물과 T사에서 수행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성과관리 및 평가체계 용역’의 책임컨설턴트가 같은 인물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해당 연구원은 T사와 H사에서 근무한 시간이 서로 겹치고 있다. 같은 기간 두 회사에서 모두 재직하며 가족여성연구원으로부터 2개의 연구용역을 각각 나눠 수의계약해 수행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T사로부터 연구용역 제반사항을 위임받은 A사 소속 연구원 김 모씨는 “T사와 직접적인 관계는 전혀 없다. T사 소속 직원이 부탁해 서류를 가족여성연구원에 전달해 준 것이 전부”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가족여성연구원 관계자는 “연구용역의 제반사항을 위임받은 김 씨가 전 직원을 대상으로 최종보고회를 개최했고 A사 소속의 또 다른 김 씨 역시 용역 추진 설명회부터 중간보고회까지 참석했다”며 “H사에 연구용역을 의뢰한 것 역시 A사의 소개로 이뤄진 것”이라고 밝혀 경기도의 정확한 진상조사가 요구되고 있다.
경기복지재단 역시 지난해 8월 1천740만 원 규모의 ‘성과연동 및 장년친화 임금체계 구축 컨설팅’을 수의계약으로 T사에 의뢰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경기복지재단 관계자는 “경영평가를 실시한 A사가 T사를 추천해 용역을 의뢰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면서도 “T사와 A사가 어떠한 관계인지는 전혀 모른다”고 말했다.
또 지난해 11월 H사에 1천870만 원 규모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미래혁신전략수립 연구용역’을 의뢰한 경기도문화의전당 관계자는 “기관의 경영합리화 후속으로 중장기발전계획이 도출돼야 하는 상황에서 연말까지 두 달밖에 남지 않아 공공기관과 문화예술분야 컨설팅 경험이 있는 연구기관을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올해 발표된 도 산하 공공기관 경영평가 평균 점수는 79.55점으로 지난해 77.71점보다 1.84점 상향 됐으며, 가족여성연구원(지난해 78.50점에서 올해 85.50점)과 경기도문화의전당(76.41점에서 77.63점), 경기복지재단(81.57점에서 82.40점) 모두 지난해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호준ㆍ허정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