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진접2택지 개발 백지화하라”

“미분양 관리지역에 또 공공주택… 농민은 실업자 위기”
토지·주택 소유주, 대책위 구성… 강제수용 반대 나서

▲ KakaoTalk_20171107_171521641
남양주시 진접읍 일대에 130만㎡ 규모의 신도시인 진접2택지지구 개발사업이 가시화된 가운데(본보 10월19일자 3면) 해당 부지 토지주들이 사업 백지화를 주장하며 반발하고 나섰다.

 

8일 남양주시와 진접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이하 대책위), 김한정 국회의원실 등에 따르면 LH는 진접읍 내각ㆍ연평리 일대에 130㎡ 규모의 미니 신도시 격인 진접2택지지구 개발사업을 추진한다. 1만2천612가구(예상 수용인구 3만510명)로 내년 착공, 오는 2022년 완공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로부터 공공주택지구 지정 및 사업인정 의제를 위한 주민 동의 등의 의견청취 요청을 받은 남양주시는 지난달 19일부터 주민공람절차를 밟고 있다.

 

그러나 개발계획이 발표되자 이 일대 토지주와 공장 및 창고 소유주, 연립ㆍ단독주택 소유주들은 대책위를 꾸리고 강제 수용 반대와 사업 전면 백지화 등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부가 남양주에 대해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선정하고도 또다시 남양주에 공공주택사업을 계획했다는 게 어불성설이라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더욱이 준공을 눈앞에 둔 다산신도시와 진건 뉴스테이, 인근 갈매 보금자리 등으로 인한 신규 인구 유입으로 심각한 교통체증이 우려되고, 수십 년 동안 농림지역과 개발제한구역 등으로 지정, 기회비용을 박탈만 해 놓고 사업 시행자가 개발이익을 독점하려 한다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대책위는 최근 국토부와 시청 등을 잇달아 항의 방문하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조동일 위원장은 “정부와 LH의 토지 강제수용으로 농민과 주민들이 하루아침에 갈 곳 없이 실업자가 될 위기에 놓였다”며 “농업 외 아무런 행위도 못하게 해 헐값이 되도록 수십 년 동안 방치하고, 주민 동의 없이 헐값에 가져간다는 건 누가 봐도 상식에 맞지 않는 파렴치한 행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지주 843명 가운데 710명이 반대 의견을 내고 있다. 나머지 지주들은 수용 사실을 모르고 있다”며 “앞으로 사업 백지화를 위한 집회 등 집단행동에 본격적으로 돌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지구 지정에 앞서 해야 할 절차를 밟는 단계로 객관적인 주민 의견을 국토부에 빠짐없이 전달하는 게 우선”이라며 “국토부가 판단할 사항으로 시는 어떤 입장도 낼 수 없다”고 말했다. 

김 의원 사무실 측은 “사업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 건 사실이지만, 추진은 LH와 국토부가 하는 것”이라며 “사업 자체가 지구 지정도 되지 않았고 확정된 게 아닌 만큼, 토지주들이 면담을 요청해도 드릴 말씀이 없다”고 밝혔다.

▲ KakaoTalk_20171107_171528947
▲ 사진 진접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 제공
▲ 사진 진접2지구 수용반대 대책위원회 제공

남양주=하지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