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동물보호단체 “폐기처분 임박 살서제 살포”
시청 게시판·청와대 국민청원 봇물… 공분 확산
市 보건소 “민원으로 약 구입… 보건 위해 보관”
안산시가 쥐 방제작업을 실시하면서 사전고지 없이 공원 등에 살포 말썽(본보 3월26일자 7면)을 빚고 있는 가운데 주민들과 동물보호단체 등이 시청 게시판은 물론 청와대 국민청원란에 쥐잡기 사업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공분이 확산되고 있다. 게다가 보건소가 주택 및 공원 등지에 살포한 쥐약(살서제)이 유통기간이 몇일 남지 않은 제품일뿐 아니라 일부는 페기처분까지 검토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26일 안산상록보건소 및 동물보호단체 등에 따르면 상록보건소는 지난 2016년 주택가 등지에서 쥐가 자주 출몰 한다는 민원이 제기됨에 따라 ‘스톰’이라는 제품명의 살서제를 1천봉지 가량 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을 구입한 보건소는 최근 주택가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둔 곳이나 녹지 등을 중심으로 쥐가 잇따라 나타난다는 민원이 제기되자 구입한 살서제 630봉(한봉 30개)을 관할 구역 내의 주택가 및 공원 등지에 살포했다.
특히 보건소가 구입한 살서제는 유통기간이 오는 29일까지로 보건소 측이 유통기간이 몇일 남지 않은 살서제를 소진하기 위해 남용해서 살포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심지어 이 중 70여봉의 살서제는 폐기처분 대상 약제로 전해졌다.
이러 가운데 주민 및 동물보호단체에서는 지난 21일 시청 게시판과 청와대 국민청원 및 제안코너 등에 “안산시 보건소 무분별한 쥐약 살포로 인해 죄 없는 강아지와 고양이가 죽었어요, 관려자 징계와 수사해 주세요, 공무원들 너무 하네요 너무 화가나네요”라는 내용의 글을 올리면서 공분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현재 청원 찬성자는 900여에 달한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보건소 관계자는 “민원 제기로 약을 구입하게 됐으며, 보건소의 경우 전염병 등으로 인한 시민들의 건강을 위해 살서제 등을 보관하고 있다”며 “끈끈이는 주민들이 싫어해 구입을 하지 않고 있다”고 해명했다.
안산=구재원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