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인 지침 없이 마구잡이로 진행되는 가지치기 탓에 경기지역 가로수가 고사한다는 지적(경기일보 3월10일자 8면)에 환경 당국이 가로수 관리 지침을 세부적으로 마련하기로 했다.
9일 환경부 등에 따르면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향후 지자체에서 생물다양성 증진을 고려해 가로수 등을 관리할 수 있도록 구체적 지침을 올해 안에 확립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최근 도시 미관을 해치는 가지치기가 빈발한다는 문제를 인지하고 이 같은 지침 마련을 추진했다.
관리 지침엔 ▲가지치기 시 나뭇잎 달린 수목을 일정 비율 이상 자르지 않는 방안 ▲생물 다양성 고려한 수종 선택 방안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또 높게 자란 가로수에 의한 전선 안전 및 간판 방해 문제 등이 발생하지 않게 심는 위치를 사전에 선정하는 방안도 수록될 방침이다. 환경 당국은 해외 사례 조사, 연구 및 전문가 의견 수렴, 산림청과의 협의 등 과정을 거쳐 3분기 이후 지침을 수립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해당 지침을 토대로 시범사업도 계획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산림청이 발행한 ‘가로수 수형관리 매뉴얼’ 등에선 가지치기 방식을 세부적인 소개 없이 그림 등으로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이 때문에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과도한 가지치기로 고사한 가로수는 전국 평균 1만6천여그루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산림청과의 협의를 통해 지침이 마련되는 대로 지난 2월 산림청에서 발표한 ‘가로수 조성·관리 계획’에 이 같은 지침이 반영될 수 있게 한다는 방침이다.
최진우 가로수를 아끼는 사람들 대표는 “환경부에서 가로수 가지치기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 제작에 착수했다는 건 매우 반가운 소식”이라면서도 “실질적으로 가로수 가지치기 작업을 시행하는 주체는 각 지자체인 만큼 마련된 규정이 향후 현장에서 얼마나 준수되는지 여부가 가로수 고사를 막는 관건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과도한 가지치기에 대한 지적이 꾸준히 제기된 바 있고, 이 같은 비판을 수용해 지침 마련을 추진하게 됐다”며 “지자체 참여 여부가 사업의 성패를 가를 수 있단 사실을 인지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 독려를 위한 인센티브나 사후 평가지표 반영 등 다양한 방안을 내부적으로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정규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