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 시(수원, 용인, 성남, 화성) 교통대책으로 3호선 지하철과 경기남부광역철도에 뜻을 모으게 돼서 기쁘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서울~성남~용인~수원~화성을 잇는 서울 3호선 연장사업 추진과 관련, “경기도민에게 하루 한 시간씩 돌려드리겠다는 약속을 했다. 오늘 협약이 그 약속을 지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믿는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21일 경기도청 상황실에서 이재준 수원특례시장, 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신상진 성남시장, 정명근 화성시장과 서울~성남~용인~수원~화성을 잇는 서울3호선 연장·경기남부광역철도 공동사업추진을 위한 상생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경기남부지역 대규모 공동주택 개발사업에 따른 출·퇴근 교통정체 해소와 지역 간 상생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것이다.
협약에 따라 도와 4개 시는 ▲서울3호선 연장·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관련 법령에 따른 일련의 행정절차 공동대응 ▲시민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 사업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정하고 균형 있는 사업이 되도록 상호 협력키로 했다. 또 철도사업의 최적노선안 마련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등 상위계획 반영 노력하고 협력사항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무협의체를 구성한다.
서울3호선 연장·경기남부광역철도는 서울시에서 경기도 동·남부권인 성남시, 용인특례시, 수원특례시, 화성시를 연결하는 철도사업이다.
서울3호선 연장은 고양시 대화역에서 서울 송파구 오금역에 이르는 노선을 성남을 거쳐 용인·수원·화성지역까지 연장한다.
특히 도와 4개 시는 사전 타당성 공동용역을 추진하고 3호선 연장 사업의 제5차 국가철도망 반영을 건의한다. 아울러 수서차량기지 이전 등 현안사항을 서울시와 지속 협의하기로 했다.
도는 서울3호선 연장이 실현될 경우 성남, 용인, 수원, 화성시 지역에 거주하는 400만 인구의 서울 출퇴근길이 1시간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경기남부광역철도는 서울3호선 연장이 어려울 경우 대안으로 추진될 노선으로 서울 강남지역과 성남, 용인, 수원, 화성시를 연결하는 광역철도이다.
이에 앞서 도는 지난 2020년 2월 수원·용인·성남시와 서울3호선 연장 관련 상생협약을 체결한 뒤 같은 해 8월 공동용역에 착수했다. 2021년 7월에는 수서차량기지 분산 이전 방안을 서울시에 협의 요청했다. 또 2021년 9월에 착수해 진행 중인 ‘경기도 철도기본계획 및 도시철도망 구축계획 연구용역’에서 기초지자체가 제안한 ‘서울3호선 연장과 경기남부광역철도’ 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