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시 한 야산에서 화재가 발생, 산림당국이 진화에 나서고 있다. 1일 산림청 중앙산불방지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낮 12시34분께 남양주시 화도읍 마석우리 한 야산(산 81의1)에서 불이 났다. 화재 원인은 파악되지 않았다. 산림청은 산불진화대 등 지상 인력과 산불진화헬기 1대를 동원, 화재를 진압 중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민가와 떨어진 산 중턱에서 발생한 불이기에 인명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신속한 진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이정민 기자
지난 31일 성남 지역에서 이천 로젠택배 물류센터 등 코로나19 확진자 11명이 추가 발생했다. 1일 성남시에 따르면 이천 로젠택배 물류센터와 관련 중원구 거주 30대 남성과 이천시 거주 20대 남성이 전날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로써 지난 28일 성남 지역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해당 물류센터 관련 관내 누적 확진자는 직원 8명, 이들의 가족 2명 등 총 10명으로 늘어나게 됐다. 이외에도 전날 감염경로가 파악되지 않은 40대 남성 등 4명과 확진자 가족 20대 여성 등 3명, 해외귀국자 20대 남성 등 8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방역당국은 이들에 대한 동선 등 역학조사를 하고 있다. 한편, 성남 지역 누적 확진자는 총 1천214명이다. 성남=이정민 기자
군포 피혁공장 집단감염 등 경기도 지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84명이 추가 발생했다. 1일 도에 따르면 전날 신규 확진자가 발생함에 따라 이날 0시 기준 도내 누적 확진자는 1만4천735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8명이 늘어 도내 총 사망자는 721명이 됐다. 7명은 6090대 고령자, 나머지 1명은 30대다. 이 중 6명(60대 1명, 80대 4명, 90대 1명)은 코로나19 전담병원에서 치료받다 숨졌으며, 30대 1명은 의왕에 있는 서울구치소 수감자로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이송 대기 중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1명은 고양시 60대 남성으로 사망 후 확진된 사례다. 이 환자는 지난달 30일 오후 4시께 심정지 상태로 고양 명지병원 응급실로 옮겨졌으며 검체 채취와 응급처치가 이뤄졌으나 1시간 만인 오후 5시께 숨졌다. 확진 판정은 같은 날 오후 8시께 나왔다. 도내 코로나19 치료 병상 가동률은 80.6%로 전날 77.6%보다 높아졌다. 중증환자 병상은 97개 중 35개가 남아 있다. 생활치료센터 8곳의 가동률은 49.3%로 전날(49.2%)과 비슷하다. 남아 있는 생활치료센터 침상은 1천643개다. 확진 판정 후 병원과 생활치료센터 배정을 기다리는 환자는 76명이며 도내 임시 선별검사소(76곳)의 익명 검사에서 양성 판정을 받은 신규 확진자는 49명이다. 주요 신규 감염 사례를 보면 군포시 한 피혁공장에서 직원 39명이 추가로 확진돼 이 공장 관련 도내 누적 확진자는 67명으로 늘었다. 해당 공장에선 외국인 근로자 등 545명이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 중 526명에 대한 검사가 마무리됐다. 이 업체 직원 모두 자택 대기에 들어갔고 공장은 운영이 중단된 상태다. 이천시 대월면 물류센터 관련해서도 13명이 더 감염돼 관련 도내 누적 확진자는 45명으로 늘었다. 이 밖에 부천 병원 관련 2명(도내 누적 14명), 파주 요양원 관련 4명(누적 57명), 고양 요양병원 관련 1명(누적 107명), 양평 개군면 관련 2명(누적 92명), 안산 원단 제조공장 관련 1명(누적 48명), 남양주 요양원ㆍ주간보호센터 관련 2명(누적 51명)이 각각 추가 확진됐다. 집단감염 사례로 분류하지 않은 소규모 n차 감염 사례는 142명(50.0%) 발생했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는 52명(18.3%)이다. 이정민 기자
전국 최초로 일터에서 일하는 모든 노동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일하는 시민을 위한 성남시 조례가 1일 시행에 들어갔다. 이 조례는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 등 고용 사각지대에 놓인 취약노동자 권익 보호를 위해 시가 전국 최초로 제정한 것으로 일하는 시민은 노동관계법에 따른 근로자를 비롯해 고용상의 지위, 고용 형태에 상관없이 일터에서 일하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조례는 시장이 일하는 시민의 노동권익 보호 및 증진을 위해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시책사업을 개발하는 내용을 담았다. 해당 사업으로 특수고용직ㆍ플랫폼노동자ㆍ프리랜서의 노동권 보호와 취약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 구축ㆍ사회보험가입 지원 등을 명시했다. 조례는 일하는 시민 지원기금을 설치하고 시장이 위원장을 맡는 기금 운용 심의위원회도 두도록 했다. 또 노동권익위원회를 설치해 일하는 시민의 노동권익 보호 및 증진과 관련한 주요 시책을 심의ㆍ자문하도록 했다. 시는 이번 조례를 근거로 10명 미만 영세사업체 사회보험료 지원, 플랫폼노동자 상해보험 가입, 취약계층 노동자 유급 병가 지원 등의 사업을 검토 중이다. 시 관계자는 연초에 노동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성남노동포럼을 개최해 취약노동자들을 위한 사회안전망 구축 사업을 구체화하고 추경예산을 통해 일하는 시민 지원기금 올해분 10억원도 적립하겠다고 말했다. 성남=이정민 기자
새해 첫 날 인하대학교 건물서 큰 불이 났다. 1일 인천소방본부에 따르면 이날 0시21분께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 용현캠퍼스 내 4호관인 공과대학 4층 연구실에서 불이났다. 이 불로 연구실이 있던 4층이 모두 불에 탔지만, 휴일이라 인명피해는없었다. 소방당국은 이날 화염과 함께 검은 연기가 치솟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 이날 오전 2시48분께 완전 진화했다. 인하대 총학생회는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화재 사실을 알리며 4호관 인근과 근처 2호관 등에 있는 학생들의 대피를 당부했다. 아직 정확한 화재 원인은 확인되지 않은 상태며, 현장 감식을 통해 파악할 예정이다. 김경희 기자
존경하는 경기일보 독자 여러분. 신축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금년엔 우리 모두의 삶에 희망과 행복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먼저 코로나19가 몰고 온 국난으로 어렵고 힘든 시기를 겪고 계신 국민 한 분 한 분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고통의 터널 속에서 새삼 깨닫고 느낀 것들이 많습니다. 당연하다고 여겼던 소소한 것들이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때론 무료하다고 느꼈던 평범한 일상들이 실은 감사한 나날이었다는 것을. 새해 우리 국회는 바로 이런 평범하지만 소중한 일상을 국민 여러분이 하루빨리 되찾을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정치권은 갈등과 대립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사회통합과 국민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비전을 세우고 실천해야 할 것입니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당동벌이(黨同伐異)를 떨치고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를 보여야 하겠습니다. 당리당략을 넘어 민생(民生)통합(統合)평화(平和)안전(安全)을 위해 헌신해야 합니다. 국민 삶의 질을 높이고 국가 미래발전을 꾀하기 위해 국회 스스로도 준비하겠습니다. 국가의 미래 청사진을 제시하고자 지난해 말 국회의장 직속기구인 국가중장기어젠다위원회가 발족했습니다. 여기서 지혜를 모으고 그 방향을 다듬어 경기일보 독자 여러분께 보고하겠습니다. 새해엔 경기일보 독자 여러분 모두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누리시길 기원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감사합니다. 신축년 새해 국회의장 박병석
경기도가 남양주시를 고발했다. 고발인은 이재명 도지사, 피고발인은 조광한 남양주 시장과 공무원 A다. 고발 혐의는 직권남용과 직무유기다. 조 시장은 권한을 남용해 경기도 조사 공무원의 권리 행사를 방해했고, 공무원 A는 관련 부서가 제출한 자료를 경기도 조 사 공무원에게 전달하지 않았다는 내용이다. 앞서 남양주시는 지난 28일 경기도를 고발했다. 불과 이틀 만에 경기도가 맞고발에 나선 셈이다. 조 시장도 이에 대해 가만있지 않았다. 도의 고발 내용을 사실 호도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남양주시에 대한 명예 훼손 등을 추가로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도 해체 주장도 폈다. 자신의 SNS를 통해 지방 도시가 살아나려면 광역 단체 도를 해체해야 한다 기초지자체에 대한 간섭과 마찰이 잦고 중앙정부 사이에 걸림돌이 된다고 주장했다. 여기에 경기 남북도 분도(分道)론까지 거론하고 나섰다. 우리는 앞서 기관 간 송사(訟事)에 대한 우려를 표한 바 있다. 그러면서 도-남양주시 간의 화해를 소망했었다. 도와 시의 싸움을 좋게 봐줄 도민이 없다는 점도 전했다. 하지만, 이런 주장 또는 요구가 다 부질없는 상황이 됐다. 언론 앞에 서로 고발장을 뿌려대는 지경이다. 상대를 공격하는 공개성명전으로 치닫고 있다. 갈 데까지 가는 것이다. 여기에 대고 무슨 화해를 말하겠나. 그런 말 꺼내기도 민망하다. 이럴 거면 끝까지 가라. 각자의 주장도 낱낱이 공개해라. 보복 감사 주장이 있다. 남양주시는 왜 보복감사인지 밝혀야 한다. 경기도는 이 주장이 왜 허위인지 설명해야 한다. 조사 과정의 강압 논란도 있다. 남양주시는 누가 어떤 압력을 받았는지 밝혀야 한다. 경기도는 압력이 없었음을 설명해야 한다. 감사의 위법성 논란도 있다. 이것도 양측 모두 풀어놔야 한다. 그 정도 각오 없이 여기까지 오지 않았을 것이다. 이건 프라이버시 따지는 개인 송사가 아니다. 남양주시장은 남양주시민의 대표다. 경기도지사는 경기도민의 대표다. 남양주시민은 나의 대표가 뭘 고발했는지 알 권리가 있다. 경기도민도 내 대표자의 고발내용을 캐물을 권리가 있다. 이런 지역민의 권리는 법원의 재판절차에 상관없이 존재한다. 언론도 지금부터는 양측의 주장을 그때그때 상세히 보도해야 한다. 두루뭉술한 양비론으로 뭉갤 때는 지났다. 참으로 안타까운 상황이다. 조만간 사건은 배당된다. 경기도지사, 남양주시장은 입건(立件)된다. 조사를 받는 피고발인 신분-직접 또는 변호인이 된다. 어느 한 쪽은 기소된다. 유죄 또는 무죄의 판결을 받는다. 몇 달, 어쩌면 해를 바꿔갈 이 장면들을 도민ㆍ시민이 지켜볼 것이다. 그 끝에서 누가 승자라며 웃을 수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