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노조가 사측의 P플랜(Prepackaged Plan) 추진으로 조기에 경영정상화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에 적극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쌍용차노조는 7일 보도자료를 통해 “P플랜 회생절차가 진행된다면 안정된 노사관계를 기반으로 새로운 투자자가 하루빨리 결심할 수 있도록 주어진 책임과 역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11년만의 회생절차 신청에도 차분히 대응하는 건 노사충돌로 사회적 갈등이 표면화될 경우 국민에게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며 “성숙한 노사관계를 바탕으로 노조는 최대한 인내하며 매각 성공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려움에 부닥친 협력업체의 부품자재대금을 우선 지급하기 위해 쌍용차 노동자의 임금 50%를 2개월간 지급유예한 것도 협력업체와 더불어 생존하겠다는 절박함과 총고용이 보장된 회사 정상화라는 목표를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쌍용차는 앞서 지난해 12월21일 서울회생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서와 함께 회생절차 개시여부 보류 결정 신청서(ARS 프로그램)를 접수했으며, 오는 28일까지 회생절차 개시결정이 보류된 상태다.
애초 회생절차 개시보류기간 마힌드라 그룹 및 신규 투자자와의 협상을 조기에 마무리하고 채권자 등 이해관계 조정에 합의, 법원에 회생절차 개시신청을 취하할 계획이었으나 신규 투자자 등과의 협상이 지연되며 부득이 P플랜 진행을 검토하게 됐다는 게 쌍용차의 설명이다.
정일권 쌍용차 노조위원장은 “다시 생존의 기회가 온다면 국민들에게 사랑받는 차량 개발로 보답할 것”이라며 “기간산업보호를 위해 정부와 채권단은 쌍용차와 부품 협력사에 대한 자금지원 등 실질적 해법을 제시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평택=최해영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