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합동 특별수사본부가 30일 현재 국회의원과 그 가족 10명의 부동산 투기 의혹 등을 수사 중이라고 밝혔다. 특수본의 전체 수사대상은 576명ㆍ125건으로 늘어났고 수사 인력은 현재의 2배 수준인 1천560명으로 확대됐다. 신분별로 분류하면 전ㆍ현직 공무원 94명(고위공직자 2명 포함), LH 직원 35명, 지방의원 26명, 국회의원 5명 등이다. 고발ㆍ진정이 접수된 국회의원은 5명이고 고발된 국회의원 가족은 3명이다. 또 다른 국회의원 2명도 투기 의혹으로 고발당했지만, 확인 결과 이들은 직권남용 등의 상황에 해당해 부동산 투기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고 특수본은 전했다. 특별수사단장인 최승렬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수사국장은 국회의원과 그 가족 10명 모두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면서도 수사에 필요한 자료를 확보해야 해 국회의원 소환에는 시일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까지 특수본이 직간접적으로 실명을 언급한 수사 대상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서영석ㆍ양향자 의원 등 2명이다. 전ㆍ현직 고위공직자 2명 중 1명은 최근 압수수색을 당한 전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장이다. 최 국장은 다른 한 분은 내사에 시간이 좀 더 걸릴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또 경기남부경찰청에서 수사 중인 LH 직원들과 관련해서는 내부 정보를 활용한 정황을 입증해 영장을 신청하겠다고 말했다. 최 국장은 4ㆍ7 재ㆍ보궐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의 부동산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는 선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건은 선거 이후로 (수사를) 미루고 있다고 했다. 한편 특수본은 기존 770명 규모이던 인원을 배 수준인 1천560명으로 대폭 확대했다. 특수본은 기획부동산(개발 계획에 대한 허위 정보를 퍼뜨린 뒤 토지를 매매해 부당이득을 취하는 중개업자)도 집중적으로 수사하기로 했다. 양휘모기자
온라인 쇼핑몰 마켓컬리가 올해 상반기 중 새벽배송 서비스를 수도권 바깥 지역으로 확대한다. 마켓컬리를 운영하는 컬리는 김포 신선물류센터 가동으로 하루 처리 가능 물량이 예전과 비교해 2배로 늘어 새벽배송 서비스 지역을 확대한다고 30일 밝혔다. 김포 물류센터는 총 8만2천644㎡(2만5천평) 크기로, 신선식품 물류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서울 장지 물류센터 등 컬리가 기존에 운영하던 물류센터 4곳의 면적을 모두 합한 것보다 1.3배 크다. 냉장ㆍ냉동ㆍ상온센터를 모두 갖춰 상품의 신선도 유지에 최적화돼 있다고 컬리는 설명했다. 김포 물류센터는 5년간 신선식품 물류센터를 운영한 컬리의 노하우와 LG CNS의 기술력을 합해 개발한 새로운 자동화 시스템인 QPS(Quick Picking System)를 도입, 생산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기존 물류센터와 달리 김포 물류센터는 상품 분류 담당자가 레일을 통해 자신 앞으로 온 상품을 시스템 지시에 따라 상자에 담고 곧바로 포장 단계로 넘기도록 설계됐다. 또한 기존 물류센터는 주문을 200건씩을 묶어 한꺼번에 처리하는 방식이었지만 김포 물류센터는 한 개씩 개별적으로 처리해 주문이 몰리는 시간대에도 탄력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한수진기자
KT는 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발주한 판교 제2테크노밸리 스마트 산단(산업단지) 구축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대표적인 사업은 △5G 기반 자율협력주행 전기버스 △4차산업 전시체험관 △입주기업 스마트 산업단지 통합플랫폼 구축 등이다. 우선 KT는 이번 사업을 위해 국내 최초로 자율협력주행에 전기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이 버스에는 5G 차량사물통신(V2X)을 기반으로 신호등, 지능형 CCTV, 보행자 검지기 등 안전 서비스가 제공된다. 또 KT는 제주 지능형교통관제(C-ITS) 사업에 도입해 효과를 확인한 정밀측위(RTK) 기술을 판교에서도 활용한다. 이밖에 지리ㆍ공간정보 제공 플랫폼(GIS)과 자율주행을 위한 동적지도(LDM), 차량용 인포테인먼트(IVI) 등을 적용한다. 4차산업 전시체험관은 스마트 산단 홍보를 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입주 기업의 신제품 및 신기술을 전시ㆍ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된다. KT 관계자는 자율협력주행 전기버스 서비스 모델을 최초로 구현하고 전국의 스마트 산업단지로 확대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한수진기자
앞으로 주요 대기업으로 향하는 대졸 신입사원들의 취업문이 더욱 좁아질 전망이다. 현대차ㆍLG에 이어 롯데그룹도 정기 공채를 폐지하기 때문이다. 이로써 5대 그룹 중에서는 삼성만 유일하게 정기 공채를 유지하게 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올해부터 대졸 신입사원 정기 공개채용을 폐지하고 계열사별 수시 채용으로 전환한다. 롯데그룹은 현재 수시 채용 전환을 결정하고 구직 사이트 등을 통해 채용 공고를 내고 있다. 롯데는 매년 상ㆍ하반기에 두 차례 대규모 정기 공채를 진행해왔다. 올해부터는 이를 없애고 계열사별로 필요한 시기와 인원을 판단해 수시로 채용하기로 한 것이다. 롯데그룹은 상시 채용 전환 후에도 정기 채용 때와 비슷한 인원을 선발하도록 최대한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계열사별로 원하는 시기에 필요한 인력을 뽑는 것이 기업 운영 면에서 더 낫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라며 코로나19로 대규모 인원을 한자리에 모아 시험을 치르기 어려운 점도 고려됐다고 설명했다. 롯데그룹이 공채를 폐지하면서 주요 대기업의 수시 채용 전환은 더욱 가속할 전망이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지난 2019년 매년 상하반기에 하던 정기 공채를 폐지했으며 LG그룹도 수시 채용으로 전환했다. SK그룹은 내년부터 전면 수시 채용으로 전환한다. SK그룹은 올해 상반기는 계열사별로 상시 채용으로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고, 하반기에 마지막 공채 실시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5대 그룹 중에서는 삼성만 정기 공채를 유지하고 있다. 앞서 삼성은 15일 채용 공고를 내고 22일까지 상반기 대졸 신입사원 공채 지원서를 접수받은 바 있다. 채용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예년 수준인 수천명 정도에 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인 사람인이 최근 201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상반기 채용 계획 설문에서 신입(47.3%)을 채용하겠다는 기업보다 경력(55.2%)을 채용하겠다는 기업이 더 많았다. 또 사람인이 구직자 1천86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는 최근 3년간 공채가 줄었다고 체감했다는 답변이 88.5%에 달했다. 김태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