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명품 디자인도시 비전선포식’ 개최

광주시는 지난 14일 머물고 싶은 안전도시 광주라는 시정 목표를 실현하고 분야별로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공기업학교와 함께 명품 디자인도시 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번 선포식은 광주도시관리공사, 동원대학교, ICT폴리텍대학, 대한건축사협회 광주지역 건축사회, 광주시 광고협회 등이 참여했으며 선포식을 통해 도시ㆍ건축물ㆍ광고물 디자인이 조화로운 계획도시 실현과 우수 인재의 창의적 아이디어 활용 및 고용창출에 기여하는 계기로 삼기 위해 광주시ㆍ공기업ㆍ학교 등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는 선포식을 통해 광주역세권 및 경안2지구 도시개발구역을 디자인도시 시범지구로 지정해 시공기업학교가 협업해 일관성 있는 경관기본계획을 구현하고 우수인재 교류를 통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발굴, 시범지구 내 도시디자인 랜드마크 개발 및 난개발 도시이미지를 탈피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신 시장은 광주시의 도시미관을 결정짓는 대표 분들이 한자리에 모인 중요한 자리라며 앞으로 광주시, 특히 광주역세권 및 경안2지구 도시개발구역을 우수인재 교류를 통해 명품디자인 도시로 구축하고 역사문화의 랜드마크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증권사 1분기 순익 1조4천억원…2007년 이후 역대 최대

1분기 증권회사의 당기순이익이 1조 4천억 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17일 금융감독원은 1분기 증권회사(56사) 당기순이익은 1조 4천602억 원으로 전분기(5천146억 원) 대비 9천456억 원 증가(+183.8%)했다고 밝혔다. 이는 2007년 1분기(1조 2천907억 원) 이후 분기별 당기순이익 기준으로 최대 실적이다. 분기 중 증권회사 당기순이익은 주식거래대금 감소 추세로 위탁매매 수수료수익은 전년 동기보다 많이 감소했다. 2018년 1분기 833조 원이던 거래대금은 4분기만인 2019년 1분기 548조 원으로 급감했다. 같은 기간 수탁수수료는 1조 4천억 원에서 8천900억 원으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IB, 자산관리부문 등의 비중이 증가해 수익이 다각화되고 순이익 규모는 달라졌다. 또 금리 하락 추세 및 주가지수 상승에 따라 채권주식 등 보유자산에 대한 운용수익이 개선되면서 당기순이익 규모가 증가했다. 수수료수익은 2조 2천422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53억 원 확대(+0.7%)했다. 수수료수익 중 IB부문은 34.0%, 자산관리부문은 11.4%를 차지하며, 수탁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39.7%로 과거에 비해 점차 감소했다. 자기매매손익은 7천28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5천110억 원 감소(41.2%)했다. 주식관련이익은 2천608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4천474억 원 증가했다. 이는 주가지수 상승으로 인해 주식평가이익이 증가한 데 기인한다. 채권관련이익은 2조 604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천386억 원 증가했다. 금리 하락 추세에 따라 채권평가이익이 증가한 데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판매관리비는 2조 2천90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천594억 원 증가(+7.8%)했다. 1분기말 전체 증권회사의 자산총액은 472조 2천억 원으로 전분기말(438조 9천억 원) 대비 33조 3천억 원 증가(+7.6%)했다. 채권 증가(+8조 4천억 원, +4.3%)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자산 규모가 늘었다. 전체 증권회사의 부채총액은 415조 3천억 원으로 전분기말(382조 3천억 원) 대비 33조 원 증가(+8.6%)했다. RP매도를 통한 자금조달 증가(+4조 8천억 +4.4%)한데다, 매도파생결합증권 증가(+8조 2천억 원, +7.4%) 등으로 전분기말 대비 부채 규모가 증가했다. 초대형IB 발행어음은 7조 7천억 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1조 7천억 원 확대(+28.3%)했다. 전체 증권회사의 자기자본은 56조 9천억 원으로 전분기말(56조 6천억 원) 대비 3천억 원 증가(+0.5%)했다. 증권사의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2.6%(연환산 10.3%)로 전년 동기 대비 0.1%P 하락(2.7%2.6%)했다. 같은 기간, 전체 선물회사(5사) 당기순이익은 70억 원으로, 전분기 60억 원 대비 10억 원 증가(+17.4%)했다. 이는 자기매매이익 등이 전분기 대비 증가한 데 주로 기인한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은 1.9%로, 전년 동기 1.7% 대비 0.2%P 증가(연환산 6.8%7.4%)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 주식시장 등 대내외 잠재리스크 요인이 수익성 및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다라면서 부동산 경기 악화에 대비해 PF대출, 채무보증 등 부동산 금융 현황도 상시점검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서울=민현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