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즈부터 영화음악까지”…수원시립합창단 ‘가을 향기, 그리고 10월의 푸른 밤’

수원시립합창단은 오는 24일 저녁 7시30분 수원SK아트리움 대공연장에서 제188회 정기연주회 ‘가을 향기, 그리고 10월의 푸른 밤’을 개최한다. 무대는 아카펠라로 막을 올린다.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작은 유럽 국가 리히텐슈타인 출신의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 요제프 라인베르거의 ‘Abendlied(저녁의 노래)’는 관객을 낭만 속으로 안내한다. 이어 경쾌한 음악으로 유명한 영국의 유명 재즈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윌 토드의 ‘Jazz Missa Brevis’ 작품은 관객에게 재즈의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인다. 오늘날 미국 재즈의 교본으로 통하는 곡이자 재즈 역사상 가장 많이 연주된 곡 중 하나인 ‘Autumn Leaves’, 오랜 세월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Fly Me to the Moon’와 한국인이 사랑하는 팝송 ‘Let it be’는 관객에게 익숙함이 주는 감동을 선물할 예정이다. 이어지는 가을 정취가 물씬 풍기는 한국 가곡은 관객을 고향의 추억으로 안내한다. ‘섬집아기’ 등을 작곡한 ‘한국의 슈베르트’ 작곡가 이홍렬의 가곡 ‘고향 그리워’와 ‘고향의 봄’ 등 한국인의 애수가 서린 수많은 곡을 작곡한 작곡가 홍난파의 ‘금강에 살으리랏다’ 등 다채로운 매력의 가곡을 만나볼 수 있다. 웅장하고 아름다운 영화·뮤지컬 속 한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주제곡들은 공연의 대미를 장식한다. 현대 영화음악의 거장 엔니오 모리꼬네의 작품 중 영화 ‘미션’에 나오는 수록곡 ‘On Earth as it is in Heaven’과 뮤지컬 ‘이순신’에서 거북선이 만들어진 후 이순신 장군이 배에 탑승하는 장면에서 부르는 ‘나를 태워라’, 뮤지컬 ‘영웅’에서 안중근과 동지들이 이토 히로부미의 저격을 준비하며 굳은 다짐을 담아 부르는 ‘그 날을 기약하며’ 등은 가슴에 전율을 선사한다. 이번 연주회는 정확한 지휘와 화려하고 풍부한 감성의 지휘자로 평을 받는 이영만 여수시립합창단 상임지휘자, 국내 유일의 합창 전문 연주단체 라퓨즈 플레이어즈 그룹과 박일룡 밴드가 함께한다. 공연은 수원시립합창단 누리집 등을 통해 예매할 수 있다.

이천시, 중국 징더전에서 한·중 도자 명장 교류전 개최

이천시(시장 김경희)는 오는 22일까지 중국 징더전 국제도자박람회에 참가해 ‘한·중 도자 명장 교류전’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징더전은 중국 내 최대 도자 생산지로 인구의 60% 이상이 도자기·요업 관련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매년 10월 징더전 국제도자박람회를 개최한다. 이번 2024 징더전 국제도자박람회에는 이천시 이재학 경제재정국장을 단장으로 이천시대표단이 지난 18일부터 개막식에 참가하고 행사를 축하했다. 대표단은 징더전 방문을 통해 도자 문화의 교류·관광 등 이천에 접목할만한 유·무형의 콘텐츠를 벤치마킹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징더전 행사에서는 이천시와 이천도자기명장 등 도예인 19명이 ‘한·중 도자명장 교류전’에 참가해 이천 도자의 우수성을 알리고 민간 교류 활동의 성과를 널리 공유할 예정이다. ‘한·중 도자명장 교류전’은 이천도자기명장협회와 이천시 도예가 19명, 중국 도자예술대사(大師) 13명이 함께 양국의 도예에 대한 열정과 우정을 나누기 위해 준비한 전시로 한중 양국의 도자 문화 전통을 나타내는 80여 점의 도자 작품을 전시할 예정이다. 이천시와 징더전시는 도자예술이라는 공통된 주제로 1997년 우호 관계 의정서를 체결하고 매년 교류를 이어 오면서 2007년 자매도시 결연을 맺었다. 각각 2010년과 2014년 유네스코 공예 및 민속예술분야 창의도시로 선정돼 활발한 도자 문화관광 교류를 이어가고 있다. 김경희 이천시장은 “이번 중국 징더전에서 열리는 ‘한·중 도자 명장 교류전’에서 자매도시 양국의 도자 명장님, 대사님들이 도예에 대한 열정과 우정을 마음껏 나누시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한․중 상호 우호 증진과 문화관광 교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천시대표단은 징더전 국제도자박람회 일정을 마치고 지난 2005년 우호 도시를 체결한 우시시를 방문해 우호 도시 체결 20주년 교류 확대 방안을 논의한 후 22일 귀국할 예정이다.

이재명 “101년간 일본에 부정당한 진실 밝혀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민주당 소속 김윤덕·윤건영 의원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101년간 부정당한 진실, 1923 간토대학살 영화 르포컷 전시회가 개최된다. 23일부터 25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제3로비에서 진행되는 이번 전시회는 지난 101년간 일본으로부터 부정당해 온 간토대학살의 역사를 증거와 증언을 통해 바로잡고, 국민 모두가 기억해야 할 역사를 되새기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됐다. 다큐멘터리 1923 간토대학살에서 나온 관련된 역사 자료들과 주요 내용 등을 전시하고 관련 학자와 정치인들이 함께 참여해 간토대학살의 진실을 밝히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예정이다. 메인 행사는 23일 수요일 오전 11시15분에 시작되며, 이 대표를 비롯한 김 의원, 윤 의원이 대회사를 하고 한국독립영화협회 백재호 이사장이 사회를 맡아 간토대학살의 역사적 의미를 강조할 계획이다. 또 권재익 유가족을 비롯해 김태영 다큐멘터리 감독, 시민모임 독립 이만열 이사장 등이 감사 인사를 전하고 역사바로잡기연구소 황현필 소장이 간토대학살의 역사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며, 김태영 감독과 최규석 감독이 사진전에 대해 소개를 할 예정이다. 이 대표는 “이번 전시회는 피해자들의 넋을 위로하고, 오랜 시간 고통 받으셨을 유가족들의 아픔을 달래며, 간토대학살의 진실을 바로 세우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행사를 공동으로 주최하는 윤 의원은 이번 22대 국회에서 간토 대학살 사건 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 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한 바 있다.

안산시 1호 산업명장·안산공고 학생들 한자리에…미래 비전 제시

안산시의 ‘1호 산업명장(절삭가공 분야)’과 안산공고 학생들이 기술 산업 분야의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20일 안산시에 따르면 최근 안산산업역사박물관에서 관내 1호 산업명장인 문형식 명장과 안산공업고등학교 스마트기계과 학생들과의 만남의 자리를 마련했다. ‘기술 산업 분야의 현재와 미래를 잇다’라는 주제로 마련된 이번 만남은 지난 35년간 반월산단에서 절삭가공분야에 몸담은 문형식 명장의 경험과 지혜를 함께 공유함으로써 학생들에게 관련 분야의 미래 비전 제시와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행사는 안산공고 스마트기계과 2학년 학생 38명과 교사 2명이 참여한 가운데 ▲산업역사박물관 4D영상 관람 ▲산업명장 새로토크 시청 ▲문형식 산업명장의 나의 직업(삶) 이야기 특강 ▲ 안산공업고등학교 학생들과의 톡톡(Talk! Talk!) ▲ 산업역사박물관 전시관 견학 등 학생들의 미래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시는 앞으로도 산업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매년 산업명장을 선정·지원하고 다양한 지역 인프라를 활용한 산업명장 연계 콘텐츠 및 프로그램을 발굴·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이민근 안산시장은 “앞으로도 산업 명장에 대한 지원 및 예우를 통해 숙련기술인의 사기진작과 관내의 우수 인력을 확보하고 기업의 경쟁력 강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안산공업고등학교는 경기도 기능경기대회에서 올해까지 5년 연속 종합우승 달성과 함께 전국 대회에서도 2년 연속 동탑을 수상하는 등 지역 기술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천시, 제1회 전국 평생학습 페스티벌에서 우수사례 발표

이천시(시장 김경희)가 지난 18일 광명시에서 개최한 제1회 전국 평생학습 페스티벌에서 이천시 읍면동 주민자치학습센터 운영사례를 발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발표 주요 내용은 이천시가 전국 최초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면서 전 읍·면·동(14개소)에 평생교육사 배치와 주민 자치와 평생학습 업무 담당, 주민자치센터를 주민자치학습센터로 학습의 기능을 강화한 조례 개정 사례 등을 소개했다. 시는 2005년 주민자치센터를 주민자치학습센터로 조례 개정을 하고 평생교육사를 전 읍면동에 배치해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알려왔다. 특히 시는 2024년 평생교육법 시행에 따른 읍면동학습센터의 설치 의무화가 되면서 이천시는 20년 앞선 정책 사례로 평생학습 선도 도시로서 다시 한번 주목 받고 있으며 전국에서 벤치마킹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 시는 2004년 전국평생학습도시 선정을 시작으로 다음 해에 전국평생학습 대상을 수상했으며, 2016년 유네스코 글로벌 학습도시 네트워크(Global Network of Learning Cities) 가입, 2021년 장애인학습도시 선정 등 꾸준한 노력으로 2023년엔 전국평생학습 우수상, 경기도 평생학습 대상이라는 성과를 이뤄냈다. 김경희 시장은 “읍면동 주민자치학습센터의 주축인 평생교육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평생학습은 선택이 아닌 의무로서 경험이 학습이 되며 개인과 지역이 함께 성장하는 지속 가능한 평생학습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경기도한의사회 ‘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 결과 발표회…치료 만족도 80% 이상

경기도한의사회(회장 이용호)는 지난 17일 경기도의회 지하1층 대회의실에서 ‘2020~2022 경기도 난임부부 한의약 지원사업 결과발표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지난 3년 간의 한의난임치료 성과를 돌아보고, 참여자들의 임신을 축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행사에는 경기도한의사회 이용호 회장, 민상준 수석부회장, 김성욱 의장, 윤성찬 대한한의사협회장을 비롯해 김정호 경기도의회 국민의힘 대표의원, 박옥분·박재용 더불어민주당 의원, 유권수 경기도 의료자원과장 등이 참석했다. 경기도한의사회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사업에선 참가자들의 44세 연령 제한을 폐지해 총 448명이 참여했다. 이 중 여성 치료 완료자 226명 중 30명(13.3%)이 임신에 성공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치료 만족도 86.8% ▲신체 만족도 77.3% ▲정부지원 필요성 98.2%로 나타나 사업에 높은 호응도를 이끌어냈다. 2022년 사업에는 총 447명이 참여해 여성 치료 완료자 209명 중 임신 성공자가 30명(15%)으로 상승했으며, 설문 조사 결과 ▲치료 만족도 83.8% ▲신체 만족도 73.4% ▲정부지원 96%로 집계됐다. 이지혜 경기도한의사회 홍보이사는 사업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2024년 사업이 조기 마감되고 대기자가 발생함에 따라 예산 확대를 통한 사업 참여 인원 증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함께 연령 제한이 없어 평균 연령이 급격히 증가한만큼 여성 44세 남성 50세의 연령 제한, 여성 참여 대상자 선정 시 남성 동시 치료, 양한방 병행치료 시 임신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어 한의 단독치료와 양한방 병행치료 투트랙으로 사업 시행 비교 및 임신율 향상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지원사업에 참여했던 김인애씨는 “차가웠던 손발도 따뜻해지고, 소화 기능이 많이 개선됐으며, 한의원에서 심리적으로도 큰 힘이 됐다. 2023년 지원사업을 통해 둘째 아이도 임신해 오늘 함께하게 되어 더욱 기쁘다”고 소감을 전했다. 이용호 경기도한의사회장은 “경기도 난임부부 한의약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여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8세이고 과거에 난임시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80%이다. 어려운 조건에서도 한의 난임치료에 전념하신 참여 원장님들의 노력으로 10% 중반의 임신성공률을 나타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1월 ‘모자보건법’이 개정돼 국가지원에 대한 법적근거도 마련된 만큼 내년도 예산 확대를 통해 전국의 모든 난임부부들이 혜택을 받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발표회에선 지원사업 공로자 시상식이 열려 ‘경기도 한의약육성을 위한 조례’, ‘경기도 한의약 정책지원단’ 설치 근거마련 등에 대한 공로로 박옥분 더불어민주당 도의원에게 감사패가 수여됐다.

부천도시공사 쾌적한 화장실 환경조성 ‘올인’…시민 만족도↑

부천도시공사(사장 원명희)가 시민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쾌적한 화장실 환경조성에 팔을 걷어붙여 시민의 호응을 얻고 있다. 20일 부천도시공사에 따르면 공사는 최근 고객 중심 경영 실천을 위하여 관리 중인 화장실 3개소에 대해 한국화장실협회로부터 화장실 문화품질인증(TCQ-8000)을 획득하고 이용 고객 편의 도모에 앞장서고 있다. 이번 인증은 공사가 지난해 부천종합운동장 화장실과 부천중앙공원 지하 화장실 2개소를 인증받고 문화 화장실로 탈바꿈한 데 이어 올해에도 안전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조성을 위해 추진했다. 공사는 인증을 위해 부천체육관 야외화장실은 세면대 높이를 65cm에서 80cm로, 출입구 표지판 정비와 환경정비 등 시설을 개선하고 편의시설과 기저귀 교환대, 대·소변기, 세면대 받침대를 신규 설치했다. 소사국민체육센터 2층 화장실에도 여자화장실 파우더룸 전용공간 정비와 출입구 표지판 정비 등 시설을 개선하고 핸드드라이기 및 액상 비누 기구와 유아용 시트, 기저귀 교환대 등을 신규 설치했다. 또 오정레포츠센터 지하 1층 화장실은 화장실 사용 중 표시장치 2개소 정비와 환기시설 디퓨저 녹 제거 등 시설을 개선하고 위생용품 전용 수거함 3개소와 기저귀 교환대, 안심 벨 등을 신규 설치했다. 공사는 이 같은 시설 개선 노력으로 한국화장실협회(KTA)로부터 공중화장실 등에 법률 시행령 제11조 3에 의거 심의·의결을 통해 화장실 문화품질인증(TCQ-8000)을 받았다. 공사는 앞으로도 화장실 문화품질인증을 이어가 화장실 이용객 위생관리향상과 쾌적한 이용 환경 구축 및 안전·안심 사회적 약자 배려 화장실 구축을 계속 추진할 계획이다. 시민 A씨(63)는 “공중화장실을 이용할 때마다 관리·감독이 소홀한 곳은 지저분해 이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 인증 화장실은 불편함 하나 없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어 너무 좋다”라고 말했다. 원명희 사장은 “이용객들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시설 개선과 쾌적한 화장실 문화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며 “또한 앞으로도 공사에서 운영하는 다중이용시설 이용 고객 편의 향상을 위하여 깨끗한 화장실 환경조성과 화장실 이용 문화 창출을 위하여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화장실 문화품질인증은 전문가로 구성된 인증위원회에서 쾌적한 화장실 환경조성 및 범국민적 깨끗한 화장실 이용문화 창출에 이바지하는 우수기관을 평가하여 그 성과가 탁월한 부분을 인증하는 제도이다.

부천시 춘의 수소충전소 준공…“수소차 이용 시민들 편의 제고”

부천의 첫 수소충전소인 ‘춘의 수소충전소’가 준공됐다. 20일 부천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18일 오후 원미구 춘의동에서 춘의 수소충전소 준공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준공식에는 조용익 시장을 비롯해 김병전 시의회 의장, 김기표 국회의원, 도·시의원, 부천도시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현대자동차㈜, 관내 운수업체 등 50여명이 참석했다. 행사는 추진 경과보고, 테이프커팅, 충전 시연, 수소전기차(승용·버스) 관람 순으로 진행됐다. 부천 춘의 수소충전소는 국비 15억, 도비 4억5천만원, 시비 29억9천만원 등 총사업비 49억4천만원을 투입해 설비실, 사무실, 충전시설(디스펜서) 1기 등으로 구축됐다. 부천도시공사가 운영을 맡고, 운영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8시까지이며 매주 수요일과 설날 및 추석 당일은 휴무이다. 수소 판매가격은 수소 구매 원가가 인근 수소충전소의 판매단가를 넘어버린 상황으로 인해 부득이하게 1kg당 1만900원으로 결정됐다. 이용자는 수소충전소 정보 앱인 하잉(Hying)을 통해 충전소 휴무 여부, 재고 현황, 대기 차량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이번 수소 충전 인프라 구축으로 수소차 보급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수소충전소 수시 점검을 통해 이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