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3년만에 ‘최고’ 배럴당 70달러 돌파

연초부터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국제유가가 15일(현지시각) 배럴당 70달러를 넘어서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6일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센터에 따르면 국제유가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3월물 가격은 이날 영국 런던 선물거래소(ICE)에서 배럴당 70.2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2014년 12월 2일(70.54달러) 이후 3년여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전거래일 종가보다 0.56% 오른 것이다.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2월물 가격은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장중 64.81달러까지 치솟아 2014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두바이유(현물)는 전일 대비 0.74달러 상승한 배럴당 67.03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러한 상승세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효과에 힘입은 것이라고 애널리스트들이 분석했다. 지난 13일 이라크 자바르 알루아이비 석유장관이 감산 합의가 시장 안정에 기여했으며 앞으로도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한 데 이어 카타르와 아랍에미리트(UAE)가 감산 동참에 화답한 것이 상승세를 부추겼다. 금융 자문사인 프라이스퓨처스그룹의 필 플린은 로이터 통신에 “(국제유가에) 많은 사람이 놀랐으며, 앞으로도 가격이 유지될 것으로 생각한다”면서 “수요는 늘고 공급은 감소하는 상황에 놓였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올해 유가 전망 또한 속속 상향 조정되고 있다. 투자은행 뱅크오브아메리카 메릴린치는 이날 2018년 브렌트유 전망을 기존 56달러에서 64달러로 끌어올렸으며, 수요 대비 생산량도 하루 43만 배럴 부족할 것으로 내다봤다. 조성필기자

돈 ‘수난시대’… 지난해 손상화폐 3조7천693억

2017년 한해 동안 손상돼 폐기한 화폐는 5t 트럭 99대분으로, 이를 모두 쌓을 경우 백두산 높이의 21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7년 폐기한 손상화폐는 6억장, 3조7693억원으로 전년(금액) 대비 21% 증가했고, 손상 화폐를 새 화폐로 대체하는데 소요된 비용은 617억 원이다.은행권은 3조7천668억원(5억3천만장)이 폐기됐는데, 권종별로는 만원권이 3조404억원(80.7%)로 가장 많았고 5만원권(3천338억원·8.9%), 5천원권(2천109억원·5.6%), 천원권(1천817억원·4.8%)이 그 뒤를 이었다. 주화는 25억원(7000만개)이 폐기됐는데, 500원화 9억1천만원, 100원화 8억9천만원, 10원화 5억4천만원, 50원화 1억2천만원 순이었다. 최근 5년간 손상화폐 규모는 2013 2조2139억원(4억7천900만장), 2014년 2조9천847억원(5억7천500만장), 2015년 3조3천955억원(6억2천100만장)으로 늘다가 2016년에는 3조1142억원(5억4천700만장)으로 줄었는데, 지난해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일반 국민이 한국은행을 찾아 교환한 손상화폐는 46억1천만원으로 전년(36억3천만원)에 비해 27%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은행권(21억3천만원)의 손상사유는 장판 밑 눌림과 습기에 의한 부패 등 부적절한 보관방법이 11억6천만원(2천155건)으로 전체의 절반이 넘었다. 이외에 불에 탄 경우는 7억2천만원(1천91건), 세탁 또는 세단기 투입 등 취급 부주의가 2억4천만원(1천491건)으로 뒤를 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화재 등으로 은행권 일부가 훼손됐을 경우 남아있는 면적이 4분의 3 이상이면 액면금액 전액을, 5분의 2 이상~4분의 3 미만이면 액면금액의 반액을 교환해주고 있다”며 “불에 탔을 경우 재가 은행권에서 떨어지지 않고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면 재 부분까지 은행권 면적으로 인정하므로 교환을 위해서는 재를 털어내거나 쓸지 말고 상자나 용기에 담아 운반해와야 한다”고 밝혔다. 조성필기자

10명중 9명 “이자 높다” 금융소비자연맹 ‘소비자인식조사’… 대부업 금리는?

금융소비자 10명 가운데 9명은 현재 대부업체의 금리 수준이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금융소비자연맹이 전국 대도시에 거주하는 706명을 대상으로 한 소비자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89.2%는 대부업체 금리 수준이 높다고 응답했다.금소연이 대부업체 19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금리는 연 27.3%로, 법정 최고 금리(연 27.9%)에 육박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 대상 금융소비자 67.1%는 현재 대출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29.2%는 등록된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린 상태였다. 대부업체 대출 이용자들은 최근 2년 이내 대부업체의 대출서비스를 평균 4.3회 이용했다. 대부업체 대출 외에도 저축은행(62.3%), 제1금융권(56.3%), 신용카드사(51.5%), 캐피탈사(41.3%) 대출이 있는 이들도 많았다. 대부업체 대출을 이용하는 이유로는 ‘낮은 신용등급으로 인해 타 금융권에서 거절당했기 때문에’(54.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대부업체 대출을 이용 중인 소비자 66.5%는 제1금융권에서 대출 거부를 당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34.0%는 대부업체에서도 거절당한 경험이 있었다. 대부업체 대출 이용자 56.9%는 업체별로 이자율 차이를 비교하지 않는다고 답했다.이들은 주로 ‘빠르게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32.9%), ‘심사가 까다롭지 않기 때문에’(17.4%) 대부업체 대출을 선택했다고 밝혔다. 대부업체 이용자 중 46.7%는 약정 기간을, 35.9%는 대출원금을, 45.5%는 연 금리를, 44.3%는 월 상환액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현재 이용 중인 대부 대출의 자금용도는 주로 생활비(45.0%)와 사업자금(18.0%)이었다. 이용자 67.1%는 매달 상환하는 대출 원리금이 부담된다고 답했다. 상환 기간에 갚을 수 없을 것이라는 응답자도 31.7%나 됐다. 금융소비자연맹은 “대부 대출 이용자는 대출 선택 제한이라는 불리한 상황과 자금 마련 절박성으로 인해 이자율 비교와 같은 합리적 행동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대부 대출 이용자가 저소득·저신용자인 점을 감안할 때 법정 최고수준 금리를 합리적 수준으로 인하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조성필기자

민주 “한발짝씩 양보하는 상생”…한노총 “일방 추진시 중대결단”

‘사회적 대타협을 위한 경청간담회’를 이어가고 있는 더불어민주당은 16일 한국노총을 찾아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노동현안에 대한 노동계 입장을 청취했다. 민주당은 한국노총을 향해 ‘소중한 동반자적 관계’라며 친근감을 표현했지만 근로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산입범위 등 민감한 주제와 관련해서는 신경전이 전개됐다. 민주당 우원식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노총 빌딩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민주당과 한국노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시대적 과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소중한 동반자적 관계”라며 “한 발짝씩 양보하는 대화와 타협을 통한 상생의 방향에서 길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태년 정책위의장(성남 수정)은 “노동시간 단축과 휴일·연장근로수당의 중복할증 문제와 관련해 노동계·경제계의 의견을 충분히 듣고 지혜를 모아 해결하겠다”며 “최저임금 산입범위 문제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논의하고 있고 정부로 이송되면 노동계와 충분히 대화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은 “노동계와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근로기준법 개정을 추진하고 최저임금 산입범위의 확대를 추진하면 노사정 대화의 문은 열리기 매우 어려울 것”이라며 “한국노총은 더는 인내하기도 어렵고 중대 결단 시기는 빨라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국노총은 이날 간담회에서 근로시간 단축과 관련, 민관합동지원단 및 노정 연석회의 구성을 제안했다. 또한 최저임금 준수 공동캠페인을 추진하고 ‘최저임금 꼼수 바로잡기 센터’를 공동운영하자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노동시간 단축 민관합동지원단 구성은 가능하고 노정 연석회의의 경우 야당의 반발 등을 고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송우일기자

남경필 경기지사 “미세먼지는 ~”

도의회 민주당, 연정 종료 제안

설 귀성 열차표 판매

초미세먼지 주의보 발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