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양사, 삼양제넥스 흡수합병 “사업경쟁력 강화”

삼양홀딩스의 계열사 삼양사는 또 다른 계열사인 삼양제넥스를 흡수합병한다고 11일 발표했다. 삼양사와 삼양제넥스의 합병비율은 보통주 1대 2.1791119, 우선주 1대 1.4158270이며 합병 기일은 2016년 1월 1일이다. 삼양그룹은 이번 흡수합병 목적을 사업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재무안정성 확보 및 투자 기회 확대를 통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식품부문과 화학부문 사업을 영위하는 삼양사가 전분, 전분당 등 식품원료를 생산하는 삼양제넥스를 흡수합병하게 되면, 식품사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두 회사가 각각 가진 화학과 식품 연구개발 역량을 통합해 제품 다각화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삼양제넥스에서 국내 최초로 개발한 옥수수로 만드는 플라스틱원료인 이소소르비드가 식품과 화학 기술의 융합으로 탄생한 대표적인 제품이다. 삼양제넥스의 화장품 브랜드 어바웃미의 중국 시장 진출 본격화도 기대된다. 이미 상해에 진출한 삼양사 중국법인의 현지 영업망을 활용해 중국 시장에서 화장품 사업 기회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삼양사는 지난해 매출액 1조3551억원, 당기순이익 305억원을 기록했으며, 삼양제넥스는 매출액 3948억원, 당기순이익 233억원을 기록했다. 한편, 삼양사는 2013년 계열회사인 삼양EMS와 삼양웰푸드를 흡수합병해 경영 효율성 증대의 초석을 다졌다. 지난해 밀가루 제조회사인 삼양밀맥스를 합병하고 PET병 사업부문을 떼어내 삼양패키징을 신설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통한 내실 경영을 지속하고 있다. /제휴사 이투데이 제공

이창주 박사 “北 신의주-中 단둥 연결 신압록강대교 내년 개통”

신압록강대교 내년 개통. 북중 경제협력의 상징으로 꼽혀온 신압록강대교가 내년 중 개통될 것으로 알려졌다. 랴오닝성 단둥(丹東)과 북한 평안북도 신의주를 연결하는 신압록강대교는 지난 2010년 말 착공, 지난해 10월 교량 건설이 마무리돼 개통을 앞두고 있었으나 북한 쪽 접속교량이 건설되지 않아 개통이 11개월째 연기돼왔다. 동아시아 외교 전문가인 이창주 중국 푸단(復旦)대 박사는 11일 자신의 블로그를 통해 최근 접촉한 단둥시정부 간부로부터 신압록강대교가 내년에 개통될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이 박사는 특히 중국이 이미 북측 도로 건설에 투자키로 했다는 단둥시 간부의 말도 들었다며 중톄주쥐(中鐵九局) 직원들이 토지측량을 위해 북한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전했다. 중국 랴오닝(遼寧)성 선양에 위치한 중톄주쥐 집단유한회사는 중국 국무원 국유자산감독관리위 산하 국유기업으로 도로, 철로 등 인프라 건설사업을 주로 담당한다. 전문가들은 신압록강 대교 개통 차질과 관련해 북한측이 표면적으로 도로 공사비 부담을 들고 있으나 공사를 중단한 실제 이유는 지난 2013년 3차 핵실험 강행 이후 북중 관계가 악화된 결과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공사 재개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은 신압록강대교를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전략과 연계한 유라시아 육로 통로 및 랴오닝 연해경제벨트의 인프라로 보고 건설비 22억2천만 위안(약 4천115억 원)을 전액 부담했다. 그러나 북한은 대교와 북측 도시의 연결도로에 대해 중국 측 투자를 요구하며 공사를 중단했다. 중국문제에 정통한 한 소식통은 신압록강대교와 달리 지린성과 북한 함경북도의 나선시 특별경제구역 기초건설사업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며 북중경협이 상호보완성을 지녔고 대부분 중국과의 무역에 의존하는 만큼 무역의 냉탕온탕은 언제든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팀

공정위 “거짓 광고 등 오픈마켓 불공정행위 조사 중”…시장규모 연간 14조3천400억원

오픈마켓 불공정행위. 공정거래위가 오픈마켓의 각종 불공정행위 의혹에 대해 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는 11일 오픈마켓 시장 실태점검 결과를 발표하면서 오픈마켓 사업자가 거짓과장광고 또는 기만적 방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해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시장 참여자가 많고, 판매규모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마켓 분야의 불공정행위에 대해 모니터링을 해왔다. 위반행위가 발견되면 엄중히 제재하겠다고 덧붙였다. 공정위는 최근 이베이코리아(지마켓옥션), SK플래닛(11번가), 인터파크[108790] 등 3개 오픈마켓 사업자를 대상으로 실태를 점검했다. 점검 결과, 지난해 말 판매액 기준으로 오픈마켓 시장규모는 연간 14조3천400억원에 달했다. 점유율은 지마켓이 38.5%로 1위였고 이어 옥션(26.1%), 11번가(32.3%), 인터파크(3.1%) 순이었다. 오픈마켓별로 등록된 판매사업자는 11번가가 22만개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지마켓(7만개), 옥션(6만개), 인터파크(4만5천개) 순이다. 이들 판매사업자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312% 수준의 상품 판매수수료를 오픈마켓 측에 내고 있었다. 연간 수수료는 총 6천300억원이었다. 또 지난해 1조174억원 규모로 발행된 할인쿠폰 비용의 39.6%(4천26억원) 정도를 판매사업자가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마켓 부담은 54.9%, 제휴사는 5.5%였다. 오픈마켓 사업자의 광고 매출액은 2천835억원으로 연간 상품 판매금액인 14조3천423억원의 1.98% 수준이었다. 공정위 관계자는 이번 실태조사를 계기로 오픈마켓 분야에서 건전한 거래질서가 정착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온라인뉴스팀

‘포스코 특혜’ 추가 포착…외주사 2곳 압수수색

외주사 2곳 압수수색. 검찰이 11일 포스코와 거래하면서 특혜를 챙긴 혐의가 짙은 외주사 2곳을 추가로 압수 수색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이날 포스코의 포항 제철소에서 자재운송업을 하는 N사와 인근의 집진설비 측정업체 W사 등을 압수 수색했다. 검찰은 해당 업체 사무실에서 회계장부와 거래 계약서, 종업원 근로소득원천징수 서류 등 현금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각종 자료와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회사들이 포스코에서 통상 가격보다 대금을 높게 받거나 일감을 집중 수주하는 등 사업 특혜를 챙긴 단서를 포착한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N사는 종업원 30명이 근무하는 연매출 20억원 규모의 회사다. 업체 대표 채모씨는 지난 2012년 대선 당시 새누리당 경북 선대위원회에서 포항 지역 대외협력위원장을 지냈고 포항불교신도단체연합회장을 맡는 등 선거철 지역 표심을 움직이는 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인물로 알려졌다. W사는 종업원 18명을 보유한 연매출 13억14억원 규모의 중소업체로 알려졌다. 최근 검찰은 포스코 협력사나 외주 용역업체의 비리 단서를 캐고 있다. 특히 정준양 전 회장 재임 시절인 2009년부터 2012년 사이 매출이 급증했거나 포스코 일감을 집중 수주한 곳을 수사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해당 업체들은 유력 정치인을 배후에 두고 포스코에서 과도한 이익을 챙겼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법조계 안팎에선 검찰의 포스코 거래업체 수사가 당분간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재임 시절 협력사에 특혜를 주도록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 정준양 전 포스코그룹 회장도 10일 3번째로 소환된 데 이어 4차 소환조사를 기다리고 있다. 포스코 비리 수사는 포스코건설 등에서 조성된 비자금의 용처 추적 작업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해 마무리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협력사외주업체를 고리로 한 포스코와 정치권의 유착 의혹에서 속속 단서가 확보되면서 수사가 다시금 탄력을 받는 모양새다. 온라인뉴스팀

민병두 “증권사 직원 연간 440회 주식 자기매매”…시장 신뢰도 저하 우려

증권사 직원 자기매매. 중소 증권사 임직원들이 본인 계좌로 주식을 사고 파는 이른바 자기매매를 빈번하게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대형사들은 자기매매에 대해 성과급 지급 대상에서 제외하는 등 내부통제 기준이 엄격하지만 중소형사들은 수수료 수익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느슨한 기준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11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민병두 의원(새정치민주연합)에게 제출한 37개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의 지난해 자기매매 현황에 따르면 임직원 1명당 연평균 자기매매 횟수는 440회로 집계됐다. 회사별로는 한양증권이 1명당 1천547회로 가장 많고 바로투자증권(1천403회), 부국증권(1천211회), 골든브릿지투자증권(1천101회), 교보증권(919회), 하이투자증권(905회) 등이었다. 반면 신영증권(37회), 흥국증권(66회), 미래에셋증권(68회), 삼성증권(131회), KDB대우증권, 한국투자증권 등은 평균을 크게 밑돌았다. 1인당 평균 투자액은 유화증권이 6억9천600만원으로, 전체 평균(6천100만원)의 10배도 넘었다. 이어 KTB투자증권(2억2천300만원), 바로투자증권(1억6천500만원), 현대증권(1억2천800만원), 한양증권(1억1천300만원), 하나금융투자(1억1천100만원) 등의 순이다. 대신증권은 2천600만원으로 평균 투자액이 가장 적었다. 민 의원은 중소형사는 대형사에 비해 자기매매로 상대적으로 많은 수수료 수익을 내 실적 목표를 채워야 하는 부담이 큰 편이라며 금융투자회사 임직원의 자기매매는 시장 신뢰도 저하는 물론 고객과의 이해충돌로 이어질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국내 증권사 전체 임직원(3만6천152명) 중 88.4%인 3만1천964명이 자기매매 계좌를 신고했다. 이 중 79.9%에 해당하는 2만5천550명은 최소 1회 이상 실제 거래를 했다. 최근 금감원은 증권사 임직원의 주식 매매 횟수를 하루 3회, 월 회전율을 500%로 제한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금융투자회사 임직원 자기매매 근절 방안을 마련했으며 늦어도 내년 초부터 단계적으로 시행에 들어갈 계획이다.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