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남건 기자

southgeon@kyeonggi.com

“행복 그 자체”…한상원 밴드에 관객들 흠뻑 [2025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신나는 밴드 음악을 들으며 시원한 맥주를 마시는 이 순간이 행복 그 자체입니다.” 4일 오후 7시30분께 인천 연수구 연수동 뮤즈 엘피바. 인천펜타포트 라이브 클럽파티 시작 30분 전부터 한상원밴드의 공연을 보기 위해 모인 남녀노소 관객들로 발 디딜 틈 없이 가득 찼다. 리더 한상원이 기타 줄을 퉁기자, 관객들은 “이거야”라고 감탄하며 미간을 찌푸린다. 객원보컬 이나빈, 권연우, 최혜주, 조남주는 저마다 개성 있는 음색을 뽐내며 관객들을 사로잡았다. 특히 조승연이 얼굴이 붉어지도록 열정적으로 키보드를 연주하자 관객들은 흥분을 참지 못하고 자리에서 일어나 박수로 화답한다. 이어 한상원이 화려한 기타 연주를 선보이자 관객들이 일어선 자리에서 춤을 추기도 한다. 한상원밴드는 이날 약 3시간 동안 휘트니 휴스턴(Whitney Houston)의 ‘Run to You’와 톰 존스(Tom Jones)의 ‘Delilah’ 등 20여곡을 선보였다. 한상원은 “밴드 음악을 즐기는 관객들이 모여 뜻깊다”며 “음악과 함께 하나가 되는 놀라운 경험을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흥이 오른 관객들은 마시던 맥주병을 머리 위로 들어올리며 환호하거나, 양팔을 좌우로 흔들며 호응했다. 무대를 오래도록 기억하기 위해 휴대전화로 영상을 찍는 관객들도 많다. 최연우씨(20)는 “밴드 연주가 무더운 날씨를 잊게 만든다”며 “무대에 푹 빠진 것 같다”고 말했다. 펜타포트 굿즈 티셔츠를 입거나 가방을 메고 온 ‘찐팬’들도 무대를 맘껏 즐겼다. 최영선씨(48)는 “인천에서 열리는 한상원밴드 공연은 반드시 봐야 한다는 생각에 왔다”며 “너무 신나고, 다른 곳에서 열리는 인천펜타포트 라이브클럽 공연도 보러 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조경화씨(50대)도 “오늘 이렇게 신나는 무대를 보니 8월 연수구 송도에서 열리는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본무대도 너무 기대된다”고 말했다. 박상진 뮤즈 사장은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과 연계한 클럽파티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멋진 공연을 선보일 수 있어 뜻깊다”며 “이러한 공연을 통해 뮤지션들은 더 힘을 내는 계기가, 관객들은 록과 밴드 음악에 더 관심 갖게 되는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도 지역 곳곳에서 이러한 공연이 더 많이 열렸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인천시가 주최하고 인천관광공사·경기일보가 공동주관하는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은 오는 8월1~3일 인천 연수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에서 국내·외 유명 아티스트 60여팀이 출연한 가운데 열린다.

러브버그 뒤덮인 계양산…환경부가 방제작업 나선다

인천 계양산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뒤덮이면서 주민과 등산객 등이 불편(경기일보 6월30일자 등)을 겪는 가운데, 환경부가 계양산 방제 작업 지원에 나선다. 환경부는 4일 직원 37명을 계양산에 보내 10여명의 계양구 방제 인력과 함께 송풍기, 포충망, 살수 장비 등을 활용한 방제 작업을 한다. 환경부는 현장에 방치 중인 러브버그 사체가 악취를 일으켜 주민들이 불편을 겪고 있는 만큼, 대대적인 수거 작업에 집중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또 러브버그가 빛을 따라간다는 습성에 착안해 만든 ‘광원 포집 장비’ 3개를 현장에 추가 설치한다. 앞서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2일 현장 테스트 과정 중인 광원 포지 장비 4개를 계양산에 긴급 설치했다. 운영 결과, 러브버그 유인 및 포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부는 곤충 대량 출몰에 대비해 지자체와 연계한 대응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동양하루살이, 미국선녀벌레, 깔따구 등이 7월 이후에도 많이 생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2024년부터 운영 중인 서울시, 국립생물자원관 협업 체계에 인천시와 경기도 등을 포함하고, 필요 시 근처 지자체까지 포괄하는 협의체를 가동할 계획이다. 이밖에 환경부는 국민 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곤충 관리를 위한 제도적 방안도 마련한다. 러브버그 등 대량으로 출몰하는 곤충 관리에 대한 법적 근거가 없어 지자체에 대한 예산 지원과 기술개발 재원 확보 등이 어렵기 때문이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전문가와 지자체, 시민단체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논의해 법정 관리종 지정 및 체계적 대응 방안을 찾는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건국장은 “올해 곤충 출몰 상황이 매우 심각하고 기후변화 영향으로 생태계 불확실성이 심해지는 추세”라며 “곤충이 대량 출몰하면 초기부터 지자체와 협력해 대응하면서 환경부 인력과 장비, 긴급 방제 예산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계양산은 새까만 러브버그로 뒤덮였다. 등산로에 있는 밧줄 손잡이는 물론 나무 울타리와 정상석까지 새까만 러브버그가 차지했다. 정상에 올라온 등산객들은 러브버그가 입에 들어갈지 몰라 활짝 웃지도 못했다. 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계양산 정상으로 향하는 계단 등에 러브버그 사체가 수북이 쌓여 있는 동영상이 올라오는 등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잇따르기도 했다. 이에 구는 계단에 쌓인 러브버그 사체는 빗자루로 쓸어내고, 울타리에 달라붙은 러브버그에는 물을 뿌려 쫓아내고 있다. 또 벌레가 달라붙으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끈끈이 트랩’을 정상 곳곳에 설치하는 등 이달 말까지 방제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계양산 러브버그’ 난리에…윤환 구청장 “참을 줄 알아야”

인천 계양산이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로 뒤덮이면서 주민과 등산객 등이 불편(경기일보 6월30일자 보도)을 겪는 가운데, 윤환 계양구청장이 2일 “국민들이 좀 참을 줄도 알아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구청장은 이날 계양구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취임 3주년 간담회 중 “계양산에 서식 환경이 굉장히 좋아서 그런지 몰라도 러브버그가 모여 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최근 계양산은 새까만 러브버그로 뒤덮였다. 등산로에 있는 밧줄 손잡이는 물론 나무 울타리와 정상석까지 새까만 러브버그가 차지했다. 정상에 올라온 등산객들은 러브버그가 입에 들어갈지 몰라 활짝 웃지도 못했다. 또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계양산 정상으로 향하는 계단 등에 러브버그 사체가 수북이 쌓여 있는 동영상이 올라오는 등 러브버그 관련 민원이 잇따르기도 했다. 이에 구는 계단에 쌓인 러브버그 사체는 빗자루로 쓸어내고, 울타리에 달라붙은 러브버그에는 물을 뿌려 쫓아내고 있다. 또 벌레가 달라붙으면 쉽게 떨어지지 않는 ‘끈끈이 트랩’을 정상 곳곳에 설치하는 등 이달 말까지 방제 작업을 이어갈 계획이다. 윤 구청장은 이 같은 러브버그 대량 출몰에 대해 난감한 심정을 솔직하게 드러냈다. 그는 “올해 돌발적으로 발생한 상황이라 대응하기에 한계가 있었다”며 “민원을 많이 받다 보니 러브버그의 ‘러’자만 나와도 잠을 못 잤다”고 말했다. 이어 “러브버그가 익충이고 토양을 좋게 하는 기능을 해서 강력하게 대응을 못했다”며 “만약 방제 작업을 해서 전멸시켰다면 환경 단체에서 엄청난 항의가 들어왔을 것”이라고 했다. 윤 구청장은 “러브버그가 피해를 주지 않는 곤충이기 때문에 그렇게(방제) 하는 거는 별로 좋지 않다고 본다”며 “다만 시민들이 불편하거나 냄새나지 않게 잘하는 게 지자체 역할이라고 보고 있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인천 계양산, 러브버그 뒤덮여 “밟으면 푹신할 정도” [현장, 그곳&] https://www.kyeonggi.com/article/202506305803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