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캣맘사건’ 투척지점 3차원 시뮬레이션 실험

경찰, 분석결과 최장 15일 걸릴듯

제목 없음-1 사본.jpg
용인시내 한 아파트단지에서 발생한 ‘캣맘’ 벽돌 사망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과 국립과학수사대원들이 14일 사건 현장에서 벽돌 투척 시뮬레이션 실험을 위해 3차원 스캔작업 등을 하고 있다. 김시범기자
‘용인 캣맘’ 벽돌 사망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벽돌 투척지점 예상 범위를 최소화하기 위해 3차원 스캐너 기술을 이용, 시뮬레이션 실험을 실시했다.

 

용인서부경찰서는 14일 오전 11시부터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의뢰,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해 현장을 스캔했다. 프로그램상에서 벽돌의 무게값을 대입, 각 층별, 호수별로 벽돌이 일정한 힘으로 던졌을 때 부러진 조경수 나뭇가지 위치를 거쳐 현장에 이르는 거리와 각도를 추산한다는 것이다. 

여기엔 당초 경찰이 확보한 아파트 외부 CC(폐쇄회로)TV 영상에서 벽돌이 낙하하는 속도도 대입한다. 이를 통해 경찰은 예상 가능한 층과 호수를 최소화해 수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또 예상 가능한 투척지점 범위가 좁혀지면, 추후 해당 가정에 대해 압수수색에 나서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실험 후 분석결과는 최장 15일가량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경찰은 사건 발생 시간대 해당 아파트 안에 있었던 거주자를 20여명으로 추리고, 탐문 및 참고인 조사를 계속하고 있다. 사실상 모든 거주자에 대한 DNA를 확보한 상태다.

 

용인=권혁준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