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항 배후단지까지 자유무역지역 확대 추진

인천시가 인천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배후단지까지 자유무역지역 확대를 추진한다. 6일 시 등에 따르면 북항, 신항, 아암물류12단지 등 인천항 배후단지 302만7천312㎡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자유무역지역은 외국인 투자를 높이고 국제 물류 등을 활성화하기 위해 자유로운 제조물류유통 및 무역활동 등을 보장하는 지역이다. 이 곳에 입주한 기업은 공시지가의 1~1.5% 수준의 임대료만 부담하고 관세, 법인세, 소득세 등을 감면받을 수 있다. 현재 인천은 지난 2003년부터 인천항 내항과 4부두 배후지, 남항ICT 부두 등 196만4천174.6㎡가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받은 상태다. 시는 다른 지역에 비해 비싼 항만 배후단지의 임대료가 인천항의 경쟁력을 떨어트린다고 보고 자유무역지역을 배후단지까지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인천항 배후단지의 임대료는 ㎡당 1천711원으로 광양항(258원), 부산항(482원), 평택항(700원)에 비해 최대 6배 이상 높다. 시가 인천항 배후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하기 위해서는 인천항만공사(IPA)와 일부 입주 기업을 설득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자유무역지역의 입주 기업이 임대료 감면 혜택을 받는 만큼 IPA의 재정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또 자유무역지역을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폐쇄회로(CC)TV, 펜스, 경비 인력 등 IPA와 입주 기업이 부담해야 하는 관리비용도 만만찮다. 더욱이 이미 북항과 아암물류1단지에 입주해 있는 30개 기업 중 일부 기업들은 자유무역지역의 입주조건을 갖추지 못하다 보니 세금 감면 혜택 등을 받을 수 없어 자유무역지구 지정에 부정적이다. 시 관계자는 항만 배후단지의 자유무역지역 지정은 인천항의 물동량을 창출하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라고 했다. 이어 IPA와 입주 기업 등과 협의를 잘 마무리해 자유무역지역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조윤진기자

경기 4·7 재보궐선거, 60개 투표소서 실시…전국 3천459곳 투표

경기지역 4ㆍ7 보궐선거(경기도의회의원 구리시제1선거구, 파주시의회의원 파주시가선거구)가 7일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보궐선거 지역 60개 투표소(구리시 30개, 파주시 30개)에서 실시된다. 경기도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선거인은 반드시 지정된 투표소에서 투표해야 하며, 본인의 주민등록증여권운전면허증 등 관공서나 공공기관이 발행한 사진이 붙은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고 6일 밝혔다. 투표소 위치는 각 가정에 발송된 투표안내문이나 중앙선관위 홈페이지 내 투표소 서비스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방역당국으로부터 일시적 외출이 허용된 코로나19 자가격리자는 전담 공무원의 안내에 따라 자신의 자동차나 도보로 오후 8시 전까지 투표소에 도착해야 하고, 다른 선거인이 투표를 모두 마친 8시 이후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하게 된다. 선거일에는 선거운동을 할 수 없으며 ▲기표소 안에서 투표지를 촬영하는 행위 ▲투표소 100m 안에서 투표참여를 권유하는 행위 등은 금지된다. 다만, 선거운동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인터넷전자우편(SNS 포함)문자메시지를 이용해 선거운동을 하거나, 기호를 표시한 투표 인증샷을 게시전송하는 것은 가능하다. 한편 이날 서울지역은 2천259개 투표소, 부산지역은 917개 투표소 등 전국 재보궐선거 지역 3천459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투표가 진행된다. 최현호기자

인천경기기자협회, 지역언론 상생 토론회 개최

한국기자협회와 인천경기기자협회,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지역언론 상생 토론회를 열고 지역 언론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6일 오전 수원 경기문화재단 다산홀에서 열린 이번 토론회는 재단의 각종 언론 지원사업과 관련한 현안을 파악하고 지역언론과의 상생방안을 찾고자 마련됐다. 토론회는 코로나19 방역지침을 준수한 가운데 김동훈 한국기자협회 회장, 배경록 언론진흥재단 광고본부장, 황호출 광고운영국장이 패널로 나섰으며, 문완태 인천경기기자협회장을 비롯, 인천경기기자협회 8개 지회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패널들은 언론진흥재단이 지난 2018ㆍ2019년 2년동안 약 90억원 규모의 광고 수수료를 전국 지역언론으로부터 거둬들였지만, 지역 언론이 수혜를 받은 액수는 약 25억원에 그쳤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동훈 한국기자협회 회장은 현재 국회에서 9부 능선을 넘은 지역신문발전특별법과 관련해 언론단체가 노력한 데 비하면 언론재단은 어떤 노력을 했는지 착잡하다면서 재단이 가져가는 수수료의 재분배에 대한 투명성과 언론인에 대한 실질적 지원이 고민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배경록 재단 광고본부장은 재단에서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좀 더 확대하기 위해 수수료를 현행 10%에서 조금 더 올려 파이를 키운 뒤 지역언론을 향한 지원 증액을 고려하고 있다며 지역 언론인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깊이 고민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문완태 인천경기기자협회장은 기자들을 향한 지원은 금전적 혜택이 아닌, 지역 특성에 맞는 교육의 확대다라며 단순 지원금 증액을 넘어서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권재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