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구석기 도구제작에 사용한 ‘르발루아 몸돌’ 국내 최초 출토

경기도 연천 임진강변에서 국내 최초로 중기 구석기 유물인 르발루아(Levallois) 몸돌이 출토됐다. 백두문화재연구원은 임진강에 인접한 선사유적지인 연천 군남면 삼거리 복합 유적에서 르발루아 수법에 의해 제작된 몸돌(바탕 돌)을 발견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원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지난 20162017년 연천 임진강유원지 조성 사업부지에 대한 정밀 발굴조사를 시행했다. 르발루아 수법은 유럽, 아프리카의 중기 구석기 시대(약 30만~4만년 전)를 대표하는 석기 제작 방법이다. 독특한 몸돌과 격지(剝片몸돌에서 떼어낸 돌조각)가 프랑스 파리 근교 르발루아에서 발견돼 이렇게 불린다. 몸돌은 격지를 생산하는 데 쓰이는 돌로, 몸돌에서 떼어낸 격지는 각종 석기를 제작하는 데 이용된다. 백두문화재연구원에 따르면 삼거리 복합 유적은 구석기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문화층이 뒤섞여 있다. 이곳의 구석기 문화층은 상부와 하부로 구분되는데, 르발루아 몸돌은 하부 문화층에서 출토됐다. 백두문화재연구원이 가속질량분석기(AMS)로 문화층에 대한 연대를 측정한 결과 상부 문화층은 후기 구석기(2만9천2만8천년 전), 하부 문화층은 중기 구석기 말기(4만4천4만년 전)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각 밝혀졌다. 하부 문화층에서는 다양한 구석기가 함께 발굴됐는데 이번에 출토된 몸돌은 반복적 중심 방향 떼기 르발루아 몸돌(Levallois recurrent centripetal core)로 분류된다. 이 몸돌은 화산암의 일종인 응회암으로 크기 121x93x61㎜, 무게 454g이다. 몸돌은 중간의 가름면을 기준으로 윗부분은 떼기면, 아랫부분은 격지 떼기를 위한 때림면으로 명확하게 구분된다. 윗부분에는 격지를 반복적으로 떼어냈던 자국이 뚜렷하게 남아 있다. 서봉수 백두문화재연구원장은 이런 형태와 기술적 속성, 가속질량분석기를 통한 연대 측정 결과에 따라 이번에 발견한 유물은 르발루아 수법으로 제작된 몸돌로 보인다며 해방 이후 우리나라에서 발굴된 구석기 유적은 수백 군데가 넘지만 르발루아 수법이 확인된 곳은 임진강 삼거리 유적이 처음이다고 설명했다. 세계 선사 고고학계에서는 르발루아 수법이 동아시아 지역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오랫동안 통설이었다. 하지만 2012년 중국 수이둥거우(水洞溝) 유적(4만6천3만3천년 전)과 2019년 구안인둥(觀音洞) 동굴유적(17만~8만년 전)에서 출토된 구석기 중에 르발루아 제작 기술에 의한 석제품이 포함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구안인둥 동굴유적의 경우 유럽의 중기 구석기와 시대를 공유하는 석기 문화가 동아시아에서도 전개되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어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선사고고학 전문가인 한창균 전 연세대 박물관장은 이날 연합뉴스와 전화 통화에서 반세기가 훨씬 넘도록 르발루아 수법을 보여주는 유물이 나오기를 손꼽아 기다렸다며 이번 발견은 우리나라에도 중기 구석기라는 시간적 공간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주며, 한국의 중기 구석기 문화를 연구하는 데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다. 이를 계기로 동아시아에서 구석기 중기에서 후기로의 이행 과정을 체계적으로 밝혀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양휘모 기자

‘경기지역화폐 방방곡곡데이트 시즌2’ 이번엔 오산시편

경기도는 지난 17일 오산천 인근 오산동에서 경기지역화폐 방방곡곡데이트 시즌2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경기지역화폐 방방곡곡데이트는 경기도 31개 시?군을 차례로 찾아 경기지역화폐 사용을 통해 소비를 독려하는 캠페인으로 올해 시즌2를 실시하고 있다. 유튜브와 아프리카TV로 생중계된 이날 행사에는 시사평론가 김용민씨와 아나운서 유지은씨가 참석해 오산시 지역화폐인 오색전으로 슬기롭게 소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김용민씨와 유지은씨는 방송시작과 함께 오산에서 사용할 경기지역화폐 오색전을 소개한 뒤 지역화폐 충전 시 10% 인센티브 제공 등의 혜택을 안내했다. 음료 전문점을 찾은 둘은 매장 점주와 이야기를 나눴다. 매장 점주는 지역화폐 사용자를 묻는 질문에 경기도 재난기본소득이 제공된 후에 지역화폐 결제가 늘어났고, 재난기본소득을 전부 소진한 고객들도 충전을 통해 꾸준히 지역화폐를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두 사람은 오산의 한 양조장을 찾아 술을 직접 만들어보는 뜻깊은 시간을 보낸 후 오산천에 도착, 지역화폐로 결제한 치킨을 받아 먹방을 진행했다. 김용민씨와 유지은씨는 시청자에게 오산천에 오니 참 좋다. 더운 여름 가족들과 함께 경기도 내 계곡, 하천을 방문해 시원하고 즐거운 시간을 보내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이날 수백여명이 참여한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의 댓글 반응도 뜨거웠다. 시청자들은 경기도 재난기본소득 덕분에 동네 작은 마트를 이용하기 시작했다. 앞으로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동네 가게를 방문하겠다, 경기도에 사는 것이 자랑스럽다, 지역화폐 사용이 정말 좋은 것 같다. 덕분에 우리동네 가게 사장님들의 얼굴도 밝아지셨다며 칭찬을 이어갔다. 유지은씨는 오늘 지역화폐를 활용하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돼 뿌듯하다며 지역 소상공인들이 지역화폐 소비 활성화로 코로나19 어려움을 극복해 내시길 바란다고 소감을 전했다. 김용민씨 역시 지역화폐는 카드 수수료가 없어 소상공인들에게 이득이 되는 만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지역화폐는 1조2천567억원(재난기본소득 제외) 규모로 발행됐으며 어려운 지역 상권을 살리는 수단으로써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경기도는 앞으로 시군과의 협조를 통해 한시적으로 10% 특별 인센티브 지급, 이를 통한 골목상권 소비 유도로 영세 소상공인들의 피해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이광희 기자